겨울철 수난사고 연평균 1440건… “구명조끼 반드시 착용해야”소방청, 모닥불ㆍ통제된 곳 출입 금지 등 주의 당부
강이나 저수지의 얼음 깨짐으로 인한 인사사고가 반복되자 소방청(청장 허석곤)이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1.12.~ 2024.2.) 겨울철 수난사고 구조 활동은 총 4321건이다. 1372명은 구조됐지만 156명은 목숨은 잃었다. 매년 52명이 겨울철 수난사고로 숨진 셈이다.
겨울철 수난사고가 특히 위험한 이유는 수중 고립될 경우 저체온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기 때문이라는 게 소방청 설명이다.
저체온증은 중심체온(심부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체온에 따라 경증, 중등도, 중증으로 나뉜다.
전국 소방서는 겨울철 수난사고 대비를 위해 해마다 익수자 의식 여부에 따른 구조 방법 등을 익히고 있다.
중점 훈련은 ▲익수자의 저체온증 대처 및 응급처치 ▲로프를 활용한 수신호 등 위험 상황 대처요령 ▲다양한 장비를 활용한 빙상 구조법 ▲해빙기 익수 상황을 가정한 시나리오 훈련 등이다.
김재운 구조과장은 “해빙기엔 얼음이 두꺼워 보여도 금방 녹기 때문에 위험하다. 출입이 통제된 얼음 낚시터나 저수지, 연못 등엔 절대 들어가선 안 되고 날씨가 춥다 해도 얼음 위에서 모닥불을 피우는 건 특히 삼가야 한다”며 “허가된 곳에서 여가활동을 즐기시더라도 구명조끼는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