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발행인칼럼] 4차 산업 혁명 대비, 소방조직 현대화가 답이다

광고
최기환 발행인 | 기사입력 2017/06/23 [10:34]

[발행인칼럼] 4차 산업 혁명 대비, 소방조직 현대화가 답이다

최기환 발행인 | 입력 : 2017/06/23 [10:34]
▲ 최기환 발행인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m)에서 클라우스 슈바프(Klaus Schwab) 회장은 향후 세계가 직면할 ‘4차 산업혁명’을 화두로 던졌다. 그리고 세기의 바둑대결 ‘알파고와 이세돌’, 증강현실 게임 ‘포켓몬고’ 열풍 등 4차 산업혁명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건들이 연이어 나타나고 있다. 인공지능과 로봇,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첨단정보통신기술 기반을 통한 새로운 융합과 혁신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인공지능은 인간의 일자리를 뺏고 기계가 인류를 대신할 것이라는 현실적 문제까지 제기하고 있다. 한 걸음 더 나가 인간의 지능을 초월하는 강한 지능으로 발전할 경우 일자리를 넘어 인간의 존재 가치를 위협할 것이라는 문제를 묻는 상황에까지 직면했다.


이렇듯 4차 산업혁명은 이전 산업혁명과는 전혀 다른 수준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그 변화의 중심에는 핵심가치인 ‘융합과 혁신’이 함께 자리한다.


시대 흐름을 의식한 탓인지 문재인 대통령도 재난현장 대응 업무의 중요성과 장비, 인력 확충 등 소방산업을 강조했다.


소방산업은 지난 2008년 6월 제정된 소방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과 함께 출발했다. 소방시설, 관리업, 시설업, 위험물 용기ㆍ탱크 제조업, 제조소 등 특수분류체계로 시작된 소방산업은 현재 20% 이상의 양적 성장을 거듭했다.


그러나 인력과 조직 등 소방의 전문성을 찾기 위한 변화는 미비하기만 하다. 기술 전문 분야를 직렬 구분 없이 운영하는 소방예방ㆍ구조ㆍ구급 분야, 잦은 인사이동, 공공기관 인력의 파견 활용, 기술직이나 연구직의 미증원 등은 변화 없는 소방의 대표적 문제점이다. 여기에 메마른 연구ㆍ개발 여건은 소방장비와 소방용품 등 현장 필수 소방 기술의 성능 고도화와 기술 과학화를 기대조차 하기 힘들게 만들고 있다.


4만 명이 넘는 소방관의 장비와 전국 소방대상물에 설치되는 소방용품, 화재현장의 물성 분석을 위한 기술은 물론 제도개선을 위한 정책 연구 개발이 시급하다.


이제 4차 산업혁명의 급물살은 산업변화의 거대한 파고를 몰고 올 것이 자명하다. 소방산업이 연계산업 변화에 주시하고 대비해야 하는 이유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정보통신기술(ICT)과 메카트로닉스, 신ㆍ재생에너지 등의 발달은 산업과 과학기술의 발전을 불러오며 매년 2천여 종에 달하는 새로운 화학물질 등장이라는 과제를 낳았다.


사람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하기 위해서는 대기환경과 수질환경 측면에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더 중요한 것은 위험물 분류 시 화재 진압 대응력과 그에 걸맞은 예방 능력이 갖춰져야만 한다. 그렇기에 소방은 화재ㆍ폭발의 전문성 있는 예방 기술을 정립하고 현장에 대응할 수 있는 조직으로 발전해야 한다.


또 화재조사의 경험 축적을 통해 화재ㆍ폭발에 특화된 전문소방관을 양성해야 한다. 산업현장의 공공기관, 협회 등에 위임된 인증이나 교육, 공사, 관리 등의 업무는 세분화, 전문화, 조직화를 통해 효율적 재난 예방과 대비를 위한 협업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곧 소방산업은 법률에 따라 태동한 지 10년을 맞이한다. 조직의 발전과 미래를 위해 ‘융합과 혁신’이라는 아이콘이 필요하다. 이를 소방산업의 구조 변화와 제도 발전의 기초로 삼아야 한다.


복합적인 현장 상황에 대처하는 소방관과 연구개발을 위한 전문 인력, 미래를 이끌어갈 청년 일자리 창출 등 여러 마리의 토끼를 동시에 잡는 것은 시대적 사명임을 인식해야 한다.

 

최기환 발행인

[인터뷰]
[인터뷰] “다양한 경험ㆍ조직 이해 바탕으로 새로운 변화 물결 만들겠다”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