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전문가 기고] 소방시설 관리 원격감시체계가 필요하다 ②

광고
서병근 재난과학박사 | 기사입력 2018/02/09 [11:28]

[전문가 기고] 소방시설 관리 원격감시체계가 필요하다 ②

서병근 재난과학박사 | 입력 : 2018/02/09 [11:28]

▲ 서병근 재난과학박사/존슨콘트롤즈인터내셔널코리아

소방시설 원격 감시 모니터링 센터는 24시간 상시 감시로 소방시설 고장 시 전문 업체에 통보하고 화재 시 소방서에 통보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런 원격 감시센터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원격 감시를 실현하기 위해선 센터 구축이 필수 요소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현실적으로 원격 감시센터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 원격 감시센터는 그 운용 주체가 누구인지에 따라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민간 기업 자체 운용 방안과 소방관서가 직접 운용하는 방안, 정부의 업무 위탁 운용 방안 등이다.


이 중 첫 번째인  민간 기업(소방시설관리 대행 업체) 자체 감시센터 운용 방식은 해당 기업이 원격 종합 감시센터를 구축했을 때 즉시 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일부 기업에서 실제 운용하는 사례도 있다. 이런 시스템은 고장시에는 관리업체에서 직접조치 하고 화재 시에는 소방서에 통보를 하게 되기 때문에 시설을 보호하는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


두 번째는 소방본부나 소방서가 감시센터를 운용하는 방안이다. 전국에 설치된 소방서 또는 재난상황실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해당 소방관서 의지에 따라 협의를 통해 운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런 구조에서는 화재 수신기 OFF상태나 펌프고장, 밸브잠김 등 핵심 사항만 감시토록 해 관리적 효율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제도 기준이 마련돼야만 시행 가능한 일이다. 또 소방관서에서 화재나 고장과 점검 신호 등을 모두 확인할 경우 본 업무 이외의 추가 업무가 발생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소방관서는 화재신호에 대한 감시 위주로 운용하고 고장 신호는 해당 소방대상물의 관리자를 통해 통해 운용하면서 정기적인 보고를 받는 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다.


세 번째는 정부가 소방 관련 협회나 단체에 감시 운용을 위탁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신규 감시센터를 구축해야 하고 상시 감시나 고장 출동 등 정기적 관리 인원이 필요하다. 기존 점검업체 인원의 효율적 재배치도 불가피하다. 이 방식은 기존 점검업의 단점을 보완하고 상시 점검 체계로 시스템 성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요자 입장(건축물 관계자)에선 만족 효과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위탁 원격감시 센터를 권역별로 구분해 구축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정부 위탁 운영의 경우 초기 권역별 원격 감시센터 구축 등에 대한 정부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또 제도 기준도 마련돼야 한다.


이 같은 소방시설 원격 감시는 유선과 무선망을 활용해 인터넷이 가능한 어느 장소에서나 가능하다. 원격감시 구축 시 화재수신기에 멀리 떨어진 통합관리실, 경비실, 관리자, 건물주, 소방서에서도 상태감시가 가능해 관리인원의 부족으로 인한 화재수신기 감시 운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24시간 통합 감시로 화재 시 신속한 대응도 가능하게 돼 국내 소방시설 관리의 한계성을 개선 할 수 있을 것이다.


소방시설의 상시 감시 관리 구축을 통해 시스템 오작동으로 인한 소방 출동 비용을 절감시키고 재난으로부터 안전 환경을 조성한다면 불필요한 점검 등 행정력 낭비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시스템의 신뢰성 확보로 비화재보를 방지하고 소화설비 정상화로 화재 확산방지를 통한 손실도 줄일 수 있다고 본다. 소방시설에 대한 안전과 안심을 지향한 선진 체제 확립, 그것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길이다.

 

서병근 재난과학박사

[인터뷰]
[인터뷰] 옥동석 소방산업공제조합 이사장 “소방산업 대표 보증기관으로 위상 공고히 하겠다”
1/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