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보트 프로펠러 안전장치 도입을 위한 실증 연구’… 이렇게 시작됐다 지난 2019년 6월 충북에서 발생한 소방공무원 순직사고를 계기로 구조보트 선외기 프로펠러 안전장치 도입에 관한 논의가 시작됐다. 그에 따른 예방대책과 소방현장사고 조사ㆍ분석ㆍ연구의 일환으로 구조보트 프로펠러 안전장치(Propeller safety guards) 도입을 위한 실증 연구가 필요했다.
만약 안전장치(Propeller safety guards)를 갑작스럽게 도입하면 구조현장에서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장치 도입 전 현장 활동(훈련) 시 구조대원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실증테스트를 거쳐 성능을 검증해야 한다. 국립소방연구원의 ‘구조보트 프로펠러 안전장치 실증 연구’는 현장적용 시범 활용으로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정책을 제안하는 데 최종 목적을 두고 진행됐다.
안전장치와 관련된 국내 규정은 ‘수중레저활동의 안전 및 활성화 등에 관한 법률’에서 수중레저활동 보트에는 ‘스크류망’을 설치토록 의무화하고 있다. 미연방법(CFR)에도 사람이 노출되는 모든 면에서 최대 76㎜(3inch)의 프로펠러 가드가 장착되도록 규정된 걸 확인했다.
▲ 수중레저활동의 안전 및 활성화 등에 관한 법률
현장 적응성 파악을 위한 테스트 진행 개방수역에서 테스트 전, 5m 제한수역에서 작동 중인 프로펠러와 마네킹 충돌 시 수중상황 등을 비교ㆍ분석하기 위해 먼저 자체 테스트를 수행했다. 그 결과 협소한 공간과 마네킹의 중력 부력 유지의 한계는 있었으나 프로펠러의 위험성을 충분히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개방수역 내수면 두 군데에서 전문 구조대원 등 18명과 안전장치 9종에 대한 두 차례의 필드테스트를 수행했다. 육안과 안전성, 운항테스트, 마네킹 충돌 테스트 후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의견, 개선사항 등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필드테스트 결과 안전장치 9종 중 #2, #3, #4는 충돌 테스트 시 안전장치와 프로펠러 사이 공간에 마네킹 팔 등이 끼는 위험이 존재했다. 특히 안전장치 #5의 후류에서 발생하는 거품 형태는 선외기 엔진의 무리와 속도 저하의 원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현장에서는 안전성을 고려해 안전장치 전면 부분이 오픈된 형태는 피하고 속도와 저항력을 고려해 수류 홀과 적절한 매쉬 형태의 안전장치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장의 요구사항을 감안해 안전장치를 설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조향력과 속도의 반비례 관계를 고려한다면 적정성을 유지해야 하고 내구성과 유지관리, 경제성을 고려한 안전장치를 선택해야 할 거다. 물론 예산 반영이나 신제품 출시 등으로 인해 제품이 변경될 수도 있다.
안전장치 외에도 추가적으로 수중 구조작업자 보호를 고려해 잠수용 헬멧을 단계적으로 보강할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틸러방식의 구조보트가 아닌 조종석이 있는 핸들방식으로 보급돼야 하고 단기적으로는 선외기 교육 등이 수반돼야 할 것이다.
1. 내수면을 비롯한 수난구조활동(훈련) 시 선외기 프로펠러는 매우 위험하므로 그에 상응하는 S/W 측면의 SOP(재난현장표준작전절차) 개정과 교육프로그램, H/W 측면의 중장기적 장비(치)가 필요한 것을 재차 확인했다. 2. 시작품을 제작(수입)해 단계별 실증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구조장비 품질개선의 기틀과 안전장치 도입의 정책 제안이 가능해졌다. 3. 향후 (가칭)전산유체역학을 기반한 프로펠러 안전장치와 선외기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와 연계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이번 연구에서 명명한 ‘안전장치’는 임의의 개념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안전가드’ 또는 ‘프로펠러 안전망’ 등으로 용어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안전장치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업체는 거의 없다. 주문 제작을 받는 SS전문업체가 일부 있으나 PP재질은 금형틀을 제작해야 하므로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국내 수입 총판업체 파악도 필요하다.
테스트를 수행한 7종의 SS 재질은 대부분이 국제특허를 등록한 제품이다. 따라서 특허에 관련한 정밀 검색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 스케그(skeg) : 1. 보트 용골의 선미 2. 서프보드의 뒤쪽 바닥에 부착돼 있는 핀
_
<Reference> 1. 충북 수난구조훈련 중 순직사고 분석보고서(국립소방연구원 소방정책 연구실 2019-2) 2. 소방 통계연보(2019년 소방청 자료) 3. Propeller Guard Designs(University of Sydney) 4. 선외기 엔진 교육자료((주) 대양마린) 5. 어선용품의 형식승인시험 및 검정 등에 관한 기준(해양수산부 고시) 6. 선박용물건의 형식승인시험 및 검정 등에 관한 기준(해양수산부 고시) 7.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SOP)(소방청, 2018년 12월) 8. Safety Report(www.gowire.com) 9. 수중레저활동의 안전 및 활성화 등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법제처) 10. 미국 연방법(Code Of Federal Regulations)
_
국립소방연구원_ 최신웅
<본 내용은 소방 조직의 소통과 발전을 위해 베테랑 소방관 등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2019년 5월 창간한 신개념 소방전문 월간 매거진 ‘119플러스’ 2020년 3월 호에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립소방연구원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