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비상 진료체계 점검”… 중증환자 수용대책 논의중증 응급환자 응급의료체계 점검 합동회의 개최
[FPN 유은영 기자] = 경기도가 의사 집단행동에 따른 비상 진료체계 대응 상황을 재점검하고 중증 응급환자 수용대책을 마련하는 시간을 가졌다.
경기도는 13일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 주재로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시군 보건소장, 응급의료기관 센터장 등과 함께 중증 응급환자의 적정 진료를 위한 합동 영상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비상 진료체계가 3개월여 지속되는 가운데 열린 이번 회의에서 도는 응급의료협의체와 31개 시군의 의료자원 현황을 분석해 중증 응급환자 진료 기관 현행화와 이송맵 등 중증 응급질환 환자 수용대책을 토의했다.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응급의료기관의 중증환자(KTAS 1, 2) 증감을 분석한 결과 평시 대비 권역센터 23.8% 감소, 지역센터 0.3% 증가, 지역기관 29% 증가 등 권역센터로 쏠리던 중증환자가 지역센터와 지역기관으로 분산된 거로 나타났다.
이에 도는 지역센터 등 중증환자 대응 방안을 도출할 방침이다. 현재 집중관리의료기관인 응급의료기관 73개소에 관해선 전담책임관을 지정해 중대본 공지사항을 신속하게 전달하고 있다.
또 24시간 중증소아 응급환자를 위해선 4개 소아 응급 책임의료기관을 선정하고 총 42억원의 예산을 지원할 방침이다.
오병권 부지사는 “의료 취약지역 내 심뇌혈관질환 등 중증 응급환자가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전원ㆍ진료협력체계가 필요하다”며 “특정 질환별로 거점병원과 협력병원 간 응급의료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유은영 기자 fineyoo@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