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오송 참사 막는다”… 충북도, 재난안전관리 강화안전 시스템 강화, 안전 문화 확산 등 3개 전략 33개 과제 추진
[FPN 최누리 기자] = 충북도가 오송 지하차도 사고와 같은 참사 재발을 막기 위해 재난안전관리 전략을 추진한다.
충북도(도지사 김영환)는 지난 27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재난안전관리 강화전략’을 발표하고 ▲예방 중심 안전 시스템 강화 ▲도민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안전 문화 확산 ▲미래 지속가능한 안전 전문성 제고 등 3개 전략 33개 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먼저 여름철 호우 대비 인명피해 우려 지역 411곳에 대한 전수조사ㆍ 특별점검과 함께 도내 안전취약시설 1300여 곳을 대상으로 민ㆍ관 합동 집중 안전 점검에 나선다.
또 도내 지하차도 30곳에 자동 차단시설을 설치하고 지하차도별 4인 담당제(도로관리청, 읍면동, 이통장ㆍ자율방재단, 경찰관서 각 1명)를 통해 사전 예찰을 추진한다. 지난해 사고가 발생한 오송 궁평2지하차도에는 최고 높이 4.3m, 직선 연장 520.7m의 차수벽을 설치한다.
특히 신고자의 통화 내용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인공지능(AI) 기반 119신고접수시스템을 10월 중 구축하고 소방차량 영상전송 시스템 설치를 확대해 현장 중심의 재난 대응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하천범람과 침수사고를 막기 위해 미호강 치수사업도 진행한다. 우기 전 미호강 고속철도교 일원 퇴적구간과 석화천 6㎞ 구간을 우선 준설하고 강외지구 하천정비사업 신설제방(L=1.68㎞) 공사를 6월까지 마무리한다. 장기적으로는 하천기본계획 설계빈도 상향과 미호강 오송 구간에 대한 대규모 준설을 환경부에 건의해 추진할 방침이다.
안전 문화 의식 제고를 위해선 올해부터 도민안전보험에 자연재난 상해보험을 신설해 사망자에 국한됐던 보장을 부상자까지 확대하고 기존 공통 보장 항목에 사회재난 사망 특약과 성폭력 범죄 피해ㆍ상해 등 3개 항목을 추가한다.
안전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전략으로는 충북 재난안전 비전 2030 연구용역과 함께 재난안전 통합관제 구축 사업을 추진해 충북의 미래 중장기 재난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행정기관의 제한적 역할을 보완해 줄 충북안전재단 설립도 추진한다.
김영환 도지사는 “재난안전관리 강화전략을 바탕으로 도민 안전을 위한 각종 정책을 꼼꼼하게 추진하면서 미비점이 있다면 끊임없이 보완하고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