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신종ㆍ복합ㆍ기후위기 재난관리 강화”… 올해 중점 추진 과제는?

행안부, 제25차 점검회의… 이한경 본부장 “국민 안전이 최우선”

광고
김태윤 기자 | 기사입력 2025/03/05 [15:57]

“신종ㆍ복합ㆍ기후위기 재난관리 강화”… 올해 중점 추진 과제는?

행안부, 제25차 점검회의… 이한경 본부장 “국민 안전이 최우선”

김태윤 기자 | 입력 : 2025/03/05 [15:57]

▲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27일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과 '기후위기 재난대응 혁신 방안' 제25차 추진 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 행정안전부 제공


[FPN 김태윤 기자] = 정부가 국가안전시스템 개편과 기후위기 재난대응 강화를 위한 다양한 대책을 이어가고 있다.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지난달 27일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과 ‘기후위기 재난대응 혁신방안’ 점검회의를 열고 지난해 추진 실적과 올해 실행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급변하는 재난 환경에 대응하고자 지난 2023년 두 대책을 마련하고 24차례에 걸쳐 이행 상황을 점검ㆍ관리해 왔다. 앞으로도 매달 대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각 기관 의견을 반영해 과제가 차질 없이 이행되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먼저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과 관련해 지난해엔 ‘다중운집인파사고’를 포함해 재난 유형을 확대(51→81종)했다. 또 재난관리주관기관을 추가 지정(21→25기관)해 재난 관리체계를 정비했다.

 

올해는 ▲인공지능(AI) 기반 도시침수 예보와 산불 감시 체계 구축 ▲시도 재난안전연구센터 운영 확대(5→17센터) ▲호우ㆍ가뭄ㆍ지진해일 의사결정 지원체계 마련 등을 추진한다.

 

지난해 ‘기후위기 재난 대응 혁신방안’과 관련해선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을 확대(18→35개)하고 산사태 인명피해 우려 지역을 추가 발굴(5970→7879곳)했다. 지방하천 20개소를 국가하천으로 승격시키기도 했다.

 

올해는 ▲산지 전용 허가기준과 사방시설 설계기준 개선 ▲시도 소방본부, 지방경찰청 협력 강화 등을 통해 재해 예방 인프라와 위험 지역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선 산불 방지 대책도 논의됐다. 행안부는 봄철 대형 산불에 대비해 전국 산불위험지수를 실시간 제공하는 건 물론 무인감시카메라(1446대)와 드론 감시단(32개 단), 산불감시 ICT 플랫폼을 활용한 24시간 감시체계 등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고성능 진화차량을 확충(29→32대)하고 국내 산림 여건에 맞는 다목적 진화차량 16대를 신규 도입하는 등 산불 진화 자원을 보강한다.

 

이한경 본부장은 “국민 생명ㆍ재산 보호를 최우선으로 두겠다”며 “기후변화와 신종ㆍ복합재난에 신속하고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재난관리 체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태윤 기자 tyry9798@fpn119.co.kr

광고
인터뷰
[인터뷰] 소방공사 분리발주 시행 4년, 기대와 현실의 간극… 문제는?
1/4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