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경기도, 수원소방서 통합 강행 논란

“도민의 안전과 소방행정 무시한 처사” 비난 이어져

광고
신희섭 기자 | 기사입력 2009/09/21 [15:01]

경기도, 수원소방서 통합 강행 논란

“도민의 안전과 소방행정 무시한 처사” 비난 이어져

신희섭 기자 | 입력 : 2009/09/21 [15:01]

 
경기도 수원일대의 남부소방서와 중부소방서 통합을 골자로한 경기도 조례 개정안이 입법예고되면서 소방행정과 도민안전을 도외시하고 있다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경기도(지사 김문수)와 경기도소방재난본부(본부장 최웅길)는 수원남부소방서와 수원중부소방서 등 수원지역 소방서 통합계획을 골자로 한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을 4일 입법예고 했다.
 
조례안에 따르면 수원지역의 소방업무 효율화를 위해 수원중부소방서와 수원남부소방서를 수원소방서로 통합하고 기존 수원남부소방서를 남부직할대로 편성하게 된다.

또, 두 개 서가 한 개서로 통합됨에 따라 여력이 생기는 소방행정 인력을 현장으로 돌리고 통합에 대한 인센티브를 통해 소방공무원을 증원하여 수원소방서의 3교대 근무를 가능케 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 같은 경기도 조례안 입법예고에 대해 소방관계자들 대부분은 소방의 행정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말도 안 되는 발상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현재 광교신도시 등의 개발로 초고층건물이 급증하고 인구가 100만을 넘어서는 등 급증하는 위험요소를 감안할 때 소방서 통합 정책은 타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경기도의 한 고위소방공무원은 “1개 소방서에서 이토록 많은 위험요소를 감시하고 예방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며 “소방서비스는 효과적인 대응과 더불어 예방을 통해 재난을 대비하게 되는데 소방역량 대비 위험요소의 통솔 범위 초과는 재난의 사각지대를 확대해 대형사고로 이어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방관련 관계자들에 따르면 수원시와 인구가 비슷한 울산광역시의 경우에는 현재 4개 소방서에서 665명의 소방공무원이 근무하며 소방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또, 수원시에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관서도 3곳이나 된다.

때문에 경기도의 이 같은 조례개정 추진을 반대하는 이들은 "타 시도의 소방기관은 물론, 같은 지역의 경찰관서만을 비교해도 이번 소방관서 통합은 전혀 현실과 맞지 않는 발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번 처사가 현장 위주의 행정을 확대하고 있는 소방의 현 추세와도 동떨어져 있다는  지적이다.

또, 최근 정부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급증하는 재해ㆍ재난 등에 대비하기 위해 소방업무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소방서를 통합해 소방업무를 효율화시키겠다는 발상은 '자가당착'이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경기도청 관계자는 “재난대응의 효율성과 인력운용의 탄력성, 상황관리 광역화를 위해 수원소방서 통합은 반대가 있더라도 계속 추진할 것”이라고 밝혀 수원지역 소방서 통합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신희섭 기자 ssebi79@fpn119.co.kr
광고
포토뉴스
[릴레이 인터뷰] “긴박한 응급상황서 존중감을 기본으로 유연한 팀워크 발휘하는 전문가 되길”
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