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코로나19 대처상황 ※ 질병관리청(4.8. 0시 기준) - 발생현황 : (신규사망) 373명전일25↑ (재원 위중증) 1,093명전일23↓ (신규입원) 1,406명전일171↓ (신규확진) 205,333명전일19,487↓/전주74,916↓(국내205,302*, 해외31) ※ 누계 : 사망 18,754명(치명률 0.13%), 확진 14,983,694명 / * 수도권 101,582명, 비수도권 103,720명 - 예방접종 : 24,332명(1차2,473, 2차1,871, 3차19,988) ※ 누계 : 1차44,985,960명(인구대비87.7%), 2차44,508,703명(인구대비86.7%), 3차32,878,452명(접종대상자대비74.6%) - 조치사항 : (중대본) 생활치료센터 및 중등증 병상 조정계획, 코로나19 치료이력 외국인의 해외입국절차 개선 방안 등 논의(본부장, 4.8.) ※ [현장방문] 노원구 장애인 주간활동 서비스 제공기관(복지부 장관), 성남시 장례문화 사업소(복지부 1차관)
▲ 강풍·풍랑·건조 대처상황 ※ 피해·통제상황 없음(잠정) - 조치사항 : (행안부) 재난예방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통보(NDMS) * 옥외광고판 등 시설물 점검, 선박 입·출항 통제·결박, 입산통제구역 등 산불취약지 주‧야간 감시활동 강화 등
▲ 제주, 해경 헬기 해상 추락사고 대처상황 - 사고개요 : 4.8. 01:32경 마라도 남서방 200해리 해상에서 해경 헬기* 추락 * 대만 해상 침몰 예인선 수색·구조 인력 수송 후 복귀 차 이륙 직후 추락 / 탑승인원 4명
▲ 대만 해역, 예인선 조난 대처상황 - 사고 개요 : 4.7. 09:50경 대만 서쪽 18해리 해상에서 예인선* 조난신호 발생* 322톤, 시에라리온 선적, 승선 6명(한국인) - 피해현황 : 예인선 침몰 및 승선원 전원 실종(추정) - 구조현황 : 4.8. 13:15 시신 2구 수습(대만 RCC), 신원확인 중 - 수색상황 : 경비함 2척, 헬기 4대 동원 수색 중(대만 RCC)※ 해경청 경비함 1척9일11시도착예정 및 잠수지원함 1척11일21시도착예정 현장 이동 중, - 조치사항 : 국무총리, 현지 관계 당국과 협력하여 가용자원 동원하여 실종자 조속히 구조 지시(4.7.)(행안부) 상황관리반 운영(4.7.~), 현장상황관리관 파견(수습지원과장 외 2명, 4.8.)(외교부) 재외국민보호대책본부 운영(4.7.), 대만 해협 우리 선원 조난 대응을 위한 관계부처 회의 개최(4.8.),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장관) 구성·운영(4.8.~) (해수부) 비상대책반 구성·운영(4.7.~), 예인선 조난 등 실종선원 가족 위로 방문(장관, 4.8.) - 피해현황 : 사망 2명, 부상 1명, 실종 1명 - 수색상황(4.8.) : 사고 해점 주변 4개 구역(10x10해리) 집중 수색※ 헬기 동체 추정 물체 발견(4.8. 17:21, 음파탐지기 이용 확인) / 야간수색 중 특이사항 없음 - 동원세력 : (함선) 10척(해경 5, 해군 2, 관공선 1, 민간 2) (항공기) 7대(해경 3, 군 4)※ (야간수색) 함선 12척(해경 7, 해군 3, 관공선 2), 항공기 5대(해경 2, 군 3 / 조명탄 156발 투하) - 조치사항 : 국무총리, 긴급 지시*(4.8.) * 모든 가용자원을 동원하여 인명구조에 최선을 다할 것 등(행안부) 상황관리반 운영(4.8.~), 장관 긴급 지시*(4.8.) * 인명구조 총력 및 구조대원 안전 유의(해수부) 헬기추락 등 상황 점검 회의 개최(장관, 4.8.)(해경청) 제주청 광역구조본부 가동 및 남해청 사고수습본부 설치(4.8.)
▲ 산불 대처상황 ※ 위기경보 ‘경계’(’22.4.4.~) - 발생현황(4.8.) : 6건(완진 6*), 피해면적 0.48ha * 충남 예산(08:50~10:10, 0.1ha, 원인미상), 경남 창원(10:07~10:54, 0.05ha, 입산자 실화 추정), 전남 보성(11:43~13:20, 0.1ha, 입산자 실화), 경기 안산(13:09~14:32, 0.05ha, 재처리 부주의), 전북 남원(17:10~17:58, 0.09ha, 입산자 실화 추정), 전북 고창(17:12~17:48, 0.09ha, 입산자 실화 추정) ※ 산불통계(산림청) 제외된 유사 산불 : 강원 양구(4.8. 06:00~진화 중) MDL 북방 190m에서 발화(원인미상), MDL 남방 250m로 내려옴, 야간 산불감시조 운용, 일출과 동시에 헬기 동원 예정 - 연도별 통계(1.1.~4.8.) : ’19년396건(3,198.63㏊),’20년313건(763.62㏊),’21년191건(699.65㏊),’22년355건(22,377.46㏊) ⇒ 최근 3년(‘19~’21) 평균 발생건수(300건) 대비 118.3%, 피해면적(1,553.97㏊) 대비 1,440.0% 수준 - 조치사항 : (산림청) 4.8.~10. 강원영동 대형산불위험예보* 발령, 대국민 상황전파(CBS, DMB, DITS) * 산불발생위험, 실효습도, 풍속, 대규모 소나무 숲 존재 여부를 고려하여 주의보 발령
▲ 가축전염병 대처상황 <아프리카돼지열병(ASF)>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4.8.) : (양돈) 없음 (야생멧돼지) 3건(영월 2, 횡성 1) ※ 확진(누계) : 양돈21건(경기9, 강원7, 인천5), 야생멧돼지2,482+3건(강원1,588+3, 경기666, 충북185, 경북43) ※ 야생멧돼지 특별대책 추진 실적(누계, 10.13.~) : 포획10,879건(양성28건), 폐사체612건(양성292건) - 조치사항 : (농식품부) 강화된 방역시설 설치 관련 폐업농가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지자체 의견수렴 실시(4.8.~13.) <조류인플루엔자(AI)> ※ 위기경보 ‘주의’(’22.4.1.~) - 발생현황(4.8.) : (가금) 1건*(김해 1) (야생조류) 없음 * 경남 김해 산란계 농장(135천수) ※ 확진(누계) : 가금47+1건(충남12, 전남11, 충북10, 전북7, 경기3, 세종2, 경남2+1), 야생조류67건(강원26, 경기12, 전북12, 충남5, 부산3, 전남3, 경남2, 서울1, 충북1, 경북1, 제주1) - 조치사항 : (김해시) 발생·예방적 살처분 농장 대상 살처분 실시(4.8.)
▲ 주요사고 - (화재) ① 10:21경/인천 중구 신흥동3가/아파트(15/0층, 18,325㎡) 8층에서 전기적 요인(추정)의 화재(완진 10:38)/경상 4명, 건물 50㎡ 및 가재도구 등 소실② 02:55경/경남 창원시 해운동/요양병원(160명 입원, 11/2층, 5,778㎡) 지하2층 기계실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04:15)/재산피해 조사 중※ 인명피해 없음 / 환자 160명 인근 병원에 분산 수용 - (사업장사고) ① 09:09경/충남 아산시 탕정면/공장 신축공사장(1/0층, 1,774㎡)에서 천장 전기 배선작업 중 작업자 추락(H=7m)/중상 1명② 14:00경/경남 사천시 사남면/소나무재선충 방제를 위한 벌목작업 중 작업자가 쓰러지는 나무(지름 5cm)에 깔림/사망 1명 - (교통사고) 00:49경/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오창 IC와 지방도 접속구간에서 버스(탑승객 19명)가 가드레일 추돌/경상 16명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 15회(산악구조 4, 응급환자 1, 화재진화 3, 수색구조 1, 훈련 6) / 5명(구조 4, 구급 1) ❖구급상황관리 : 4,090회(의료지도 455, 대국민상담.지도 3558, 조정 67, 헬기 1, 재외국민 9) ❖생활안전조치 : 350회(동물포획 113, 소방시설비화재보 87, 잠금개방 36, 안전조치 5, 기타 109)
◇ 화재진압 ▲ (아파트) 인천 남동구『○○아파트』 - 02:20~02:41, 8층 주택 내부 원인미상 화재, 사망1명, 주택 20㎡ 및 가재도구 등 소실
▲ (아파트) 인천 중구『○○아파트』 - 10:21~10:38, 8층 주택 내부 전기추정 화재, 경상4명, 주택 50㎡ 및 가재도구 등 소실
▲ (공사장) 경기 파주시『○○신축공사장』 - 15:48~17:06, 담배꽁초 취급부주의 추정 화재, 경상1명, 건물 600㎡ 등 소실
▲ (판매시설) 세종시 조치원읍『○○마트』 - 16:35~18:55, 담배꽁초 취급부주의 추정 화재, 건물지붕 971㎡ 및 상품 등 소실
◇ 구조・구급・생활안전 ▲ (교통사고) 경북 포항시『○○ 터널 인근 도로상』 - 03:09~04:20, 25톤 트럭 추돌사고 및 1톤 트럭 2차 추돌사고, 사상 3명(사망1, 경상2)
4월 9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