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국민 구하는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올해 4950곳 신규 설치

소방청 “더욱 실효성 높이고 설치 확대하는 방안 추진하겠다”

광고
박준호 기자 | 기사입력 2023/12/27 [18:08]

국민 구하는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올해 4950곳 신규 설치

소방청 “더욱 실효성 높이고 설치 확대하는 방안 추진하겠다”

박준호 기자 | 입력 : 2023/12/27 [18:08]

▲ 구급차가 도로를 주행하고 있다.  © FPN


[FPN 박준호 기자] = 지난 4월 11일 오전 9시께 세종특별자치시에서 한 남성이 심정지로 쓰러졌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출근 등으로 차량정체가 심한 시간대였다. 소방은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을 가동했고 119구급대는 평소 15분 걸리는 거리를 약 8분 만에 도착해 환자를 소생했다.

 

소방청(청장 남화영)은 올해 전국 교차로 4950곳에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은 소방차와 구급차 이동 경로에 따라 교차로 신호를 일시적으로 제어해 긴급차량이 신호 제약 없이 무정차 통행할 수 있도록 맞춤형 신호를 부여하는 걸 말한다.

 

지역별 교통 여건에 따라 소방차 운전자가 단말기를 이용해 직접 컨트롤하는 현장 제어방식과 차량의 위치와 목적지를 교통관제센터로 전달해 교통신호를 조정하는 중앙제어방식 등 두 가지로 운영된다.

 

소방청에 따르면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구축을 위해선 지방자치단체와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소방은 사용자로서 설치장소와 운용 차량 등 현장 의견을 전달하고 경찰은 신호체계 운영 주체로서 신호주기, 변경 등 신호체계를 관리한다. 지자체는 시스템 설치 예산투입과 교통신호기 설치ㆍ관리업무를 책임진다. 세 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해야 제대로 작동되는 셈이다.

 

최홍영 화재대응조사과장은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의 실효성을 높이고 설치 구간 등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재난 현장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경찰, 지자체, 도로교통공단 등과 함께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위급상황 시 꽉 막힌 도로를 뚫기 위해선 시스템이 반드시 작동해야 한다”며 “신호를 임의 변경하면 일시적으로 차량정체가 생길 수 있으니 국민께서는 조금 불편하시더라도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12월 현재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은 전국 15개 시도에 1만8422곳이 설치됐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