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최악의 항공기 참사…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179명 사망조류 충돌 후 알 수 없는 이유로 동체착륙
|
[FPN 박준호 기자] = 전남 무안국제공항에 도착한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과정에서 활주로 밖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했다. 이 사고로 탑승객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하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역대 최악의 항공기 사고가 발생하자 정부는 내년 1월 4일 24시까지 7일간을 국가애도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해 희생자에 대한 조의와 애도를 표하기로 했다.
소방청 등에 따르면 29일 오전 9시 3분께 태국 방콕 수완나품국제공항을 출발해 무안공항에 도착한 제주항공 7C2216편 항공기가 착륙 중 활주로를 이탈해 둔덕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인 로컬라이저(Localizer) 시설을 들이받은 뒤 불길에 휩싸였다.
이 여객기는 당일 오전 8시 57분께 무안공항에 착륙할 예정이었지만 랜딩기어(바퀴)가 고장이 나 동체로 착륙하던 중 사고가 났다. 당시 여객기엔 승객 175명(한국인 173, 태국인 2명)과 승무원 6명 등 총 181명이 탑승해 있었다.
11분 만에 현장에 도착한 소방은 오전 9시 16분께 대응3단계를 발령하고 43분 만에 초진, 1시간 24분 만에 불을 완전히 껐다. 이후 소방대원과 장비를 대거 투입해 기체 후미부터 구조작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2명만이 구조됐고 나머지 179명은 모두 목숨을 잃었다. 구조된 2명은 기내 승무원이다.
국토교통부가 밝힌 당시 사고 상황을 종합하면 관제탑은 오전 8시 57분께 기장에게 조류충돌 우려를 전달했다. 그런데 실제로 여객기는 조류와 충돌했고 이후 복행했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실패한 뒤 급선회해 원래 착륙방향의 반대로 착륙을 시도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랜딩기어(바퀴)가 동작하지 않아 여객기는 몸통을 이용해 미끄러지듯 착륙하는 동체착륙을 했다. 동체착륙에 성공했지만 엄청난 속도를 이기지 못한 채 앞으로 밀려가다 활주로를 이탈해 그 밖에 있는 로컬라이저 시설과 충돌하면서 참사가 빚어진 것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는 전남 무안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피해수습, 유가족 지원, 부상자 치료 등 필요한 지원을 다하겠다”며 “국토교통부에 설치된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등과 함께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해 책임소재를 밝히고 유족과 국민께 신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또 “향후 비참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범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