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가 시작되면 우리 주변은 말벌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특히 7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말벌은 8~9월에 이르러 그 활동성이 최고조에 달한다. 장마로 인해 초기 활동이 저조했던 말벌들은 기온 상승과 함께 벌집 내 개체 수를 급격히 늘리며 도심 곳곳에 출몰한다.
검은말벌은 가로수나 아파트 지붕처럼 도심 속 구조물에 둥지를 틀고, 토종말벌은 나무나 비석, 우사 등에 집을 짓는다. 장수말벌은 무덤이나 땅속에 은밀히 자리 잡는다. 이들 중 특히 검은말벌은 외래종으로 독성이 강하고 공격성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말벌에 쏘였을 때 단순한 통증이나 붓기만을 떠올리기 쉽지만 이는 위험을 과소평가한 것이다.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 전신 두드러기, 팔다리 부종, 어지러움, 식은땀, 가슴 답답함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혈관이 부어 호흡곤란과 저혈압으로 이어질 경우 생명이 위협받기도 한다.
따라서 벌집을 발견했을 때는 절대 스스로 제거하려 해서는 안 된다. 벌을 자극하지 말고 즉시 119나 전문 방역업체에 신고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대응이다.
말벌로부터 안전을 지키기 위한 예방 수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기 나는 제품 사용 자제다. 향수와 화장품, 헤어스프레이 등은 말벌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외출 시 사용을 피한다.
둘째, 밝은 색상의 옷 착용이다. 말벌은 검은색이나 갈색 등 어두운 색에 공격성을 보이므로 흰색 등 밝은 옷을 입는 것이 좋다.
셋째, 벌집 접촉 시 즉시 대피다. 벌을 쫓으려 하지 말고 최소 20m 이상 떨어진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이동한다.
넷째, 쏘였을 경우 침착한 대응이다. 얼음찜질로 통증을 완화하고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며, 이상 반응 시 즉시 병원에 방문하거나 119에 신고한다. 어지러움이 있다면 다리를 들어 눕는 자세를 취한다.
이러한 수칙을 숙지하고 실천한다면 말벌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하고 즐거운 여름을 보낼 수 있다. 자연과 함께하는 계절일수록 그 속의 위험에도 현명하게 대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송도소방서 미래119안전센터 소방위 김재균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