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소방서(서장 박경수) 저전119안전센터장 소방경 박희섭은 최근 농민들이 기름값 부담으로 화목보일러 사용이 늘면서 취급 부주의 등으로 화재도 동반 상승하고 있어, 이 같은 화재를 차단하기 위해 소방안전대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화목보일러는 장작을 사용해 불티가 잘 날리고, 연통의 재가 많이 눌어붙어 화재 위험성이 크지만, 설비의 안전기준이 미비하고, 주민의 화재 안전의식 부족과 화목보일러 사용상 부주의로 화재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안전대책 추진이 절실히 필요하다. 저전119안전센터장 소방경 박희섭은 관할 지역 대부분 농촌이어서 다른 지역보다 화목보일러 사용자가 많고, 사용자 대다수가 노인이어서 화재 발생 시 재산피해는 물론 인명피해도 우려되어 강력한 소방안전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화목보일러 설치 시에는 ▲추녀를 관통하는 연통은 반드시 불연재로 감쌀 것 ▲연통의 끝부분은 불티가 날리지 않도록 T자형으로 마감할 것 ▲건축물 외벽과 1m이상 이격하여 설치할 것 ▲보일러 주변에 벽돌로 방화벽 쌓아야 한다. 화목보일러는 자동 온도조절 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수동방식 보일러로 과열의 위험이 매우 높고, 연료의 특성상 불티가 많이 날릴 뿐만 아니라 사용자 대부분이 편의를 위해 보일러 가까운 곳에 땔감을 쌓아놓는 다는 점에서 화재의 위험이 항상 상존하게 된다. 저전119안전센터장 소방경 박희섭은 “보일러와 외벽은 1m 이상 간격이 유지돼야 하며, 연통은 열에 강한 철재로, 관통 부분은 반드시 불연재로 처리해야 한다”고 말하며, “화목보일러 사용자는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평상시 위험요소 사전 제거 등, 화목보일러 안전관리에 힘써달라”고 강조했다. 김대훈 객원기자 aryuje@korea.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