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6월 1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22/06/01 [09:31]

6월 1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22/06/01 [09:31]

■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코로나19 대처상황                     ※ 질병관리청(5.31. 0시 기준)

- 발생현황 : (신규사망) 9명전일과동일 (재원 위중증) 180명전일2↑

    (신규입원) 143명전일57↑ (신규확진) 17,191명전일11,052↑/전주9,150↓(국내17,148*, 해외43)

      ※ 누계 : 사망 24,176명(치명률 0.13%), 확진 18,103,638명 / * 수도권 7,774명, 비수도권 9,374명

- 예방접종 : 7,037명(1차505, 2차1,452, 3차5,080)

      ※ 누계 : 1차45,054,294명(인구대비87.8%), 2차44,586,038명(인구대비86.9%), 3차33,298,691명(접종대상자대비75.0%)

- 조치사항 : (중대본) 단계적 재택치료 조정* 추진계획 등 논의(2차장, 5.31.)

     * 재택치료 체계 유지, 대면진료 강화(외래진료센터 지속 확충), 집중관리군 모니터링 횟수 조정(2회→1회) 등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5.31.) : (양돈) 없음 (야생멧돼지) 3건(춘천 3)

     ※ 확진(누계) : 양돈22건(경기9, 강원8, 인천5), 야생멧돼지2,617+3건(강원1,660+3, 경기672, 충북237, 경북48)

     ※ 야생멧돼지 상시대책 추진 실적(누계, ’22.4.11.~) : 포획4,614건, 폐사체404건 / 양성 123건

 

 경남 밀양시 산불 대처상황           ※ 산불 3단계 발령(5.31. 11:45~)

- 발생개요 : 5.31. 09:29경 경남 밀양시 부북면 춘화리에서 발생(진화율 43%05:30기준)

     * (원인) 조사 중 / (야간동원) 인력 1,545명, 차량 118대 투입 진화 중, 열화상 드론 2팀 운영

- 피해현황(잠정) : (인명·재산)없음 (산불영향구역) 약 298ha ※ 잔여화선 약 5.3km

- 대피현황(24시) : 임시주거시설 등 13개소 468명* 일시 대피 중

     * 공공시설 9개소 346, 학교 78, 교회 17, 병원 21, 기타 6명/응급구호세트 등 1만여점 지원

- 조치사항 : (대통령실) 대통령 긴급지시* (행안부) 관계기관 회의(장관 주재 등, 3회), 현장 방문**(장관), 상황전파 및 대응 철저 지시, 현장상황관리관 파견

    * 가용자원 신속히 투입하여 조기 진화에 총력, 주민 사전대피 및 진화대원 안전 유의

   ** 관계기관 협력 대응 지시, 진화대원 격려 및 주민대피 준비상황 점검

- (산림청) 국가위기경보 밀양지역 “심각” 단계 발령, 산불현장지휘지원단 파견, 특수‧예방‧공중진화대 투입·진화

- (소방청) 소방대응 2단계 발령, 민가·요양시설·주요시설 주변 방화선 구축

- (경찰청) 경찰 216명 배치, 교통통제·주민대피 등 지원

- (지자체) 현장통합지휘본부 가동(경남행정부지사), 재난문자방송 송출, 인명대피

- 향후계획 : 일출(05:11) 후 헬기 57대 동원 집중진화,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 상황판단회의(6.1. 08:30)

 

 전국 산불 대처상황                     ※ 위기경보 ‘관심’(’22.5.12.~)

- 발생현황(5.31.) : 6건(완진 5*, 진화중 1**), 4.24ha(밀양 제외)

     * 경기 고양(12:45∼15:05/0.01ha/원인미상), 대구 달성(12:51∼16:00/4.00ha/농산폐기물소각), 경기 고양(16:26∼17:55/0.03ha/입산자실화), 경북 예천(16:33∼17:54/0.10ha/양수기 전기합선 추정), 전북 고창(19:20∼20:15/0.10ha/공사장 용접 불티 추정)

    ** 경남 밀양(09:29~진화중/원인 조사 중)

- 연도별 통계(1.1.~5.31.) : ’19년559건(3,241.76㏊),’20년452건(2,888.64㏊),’21년284건(733.15㏊),’22년593건(23,922.51㏊)

  ⇒ 최근 3년(‘19~’21) 평균 발생건수(432건) 대비 137.4%, 피해면적(2,287.85㏊) 대비 1,045.6% 수준

 

 주요사고

- (가스사고) 11:51경/전남 여수시 화치동/고압수소 생산공장 사무동에서 원인 미상(가연성 가스 폭발 추정) 폭발(화재 없음)/경상 3명, 건물(약 66㎡) 파손 등

- (화재) 22:48경/경남 양산시 삼호동/마트(2/0층, 1,998㎡)에서 원인미상의 화재(완진 6.1. 04:51)/재산피해 조사 중           ※ 인명피해 없음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구 분

화 재

구 급

구 조

생활안전

건 수

사 망

부 상

피해액

(백만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일 계

156

1

3

721

4,726

4,774

934

169

452

23 

❖헬기출동 : 5회(산악구조 2, 훈련비행 3) / 2명(구조) 

❖구급상황관리 : 3,070회(의료지도 343, 대국민상담.지도 2,683, 병원전원조정 29, 헬기 1, 재외국민 14, 병원선정 0) 

❖생활안전조치 : 452회(동물처리 141, 비화재보확인 85, 잠금장치개방 23, 안전조치 7, 기타 196) 

 

◇ 화재진압

 (주  택) 경남 창녕군『단독주택』

- 02:44~03:23, 주택 내부에서 원인미상 화재, 사망 1명, 49㎡ 및 가재도구 등 소실

 

 (점  포) 충북 청주시『○○음식점』

- 04:31~04:58, 점포 내부에서 원인미상 화재, 36㎡ 및 집기류 등 소실

 

 (주  택) 대구 동구『단독주택』

- 05:36~05:53, 주택 내부에서 원인미상 화재, 경상 1명, 28㎡ 및 가재도구 소실

 

 (축  사) 전북 정읍시『○○농장』

- 10:35~11:18, 계사 내부에서 원인미상 화재, 966㎡ 및 육계 등 소실

 

◇ 구조・구급・생활안전

 (안전사고) 전남 완도군『신축 공사현장』

- 16:54~17:48, 신축 공사현장 거푸집 무너진 사고, 경상 5명 응급처치 및 병원이송 

 

6월 1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광고
[기획-러닝메이트/한국소방안전원]
[기획-러닝메이트/한국소방안전원] 안전을 넘어 정책의 기준 제시 ‘정책연구과’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