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용산구 이태원 사고 대처상황 ※ 중대본 가동(10.30. 02:30~, 본부장 국무총리) - 사고개요 : 10.29. 22:15경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해밀턴호텔 인근에서 핼러윈 행사를 위해 밀집된 인파가 넘어지면서 사고 발생 ※ 사고경위 조사 중 인명피해(잠정) : 사상 307명(사망 155*, 부상 152**) * 내국인 129명, 외국인 26명 / ** 중상 30명, 경상 122명 - 조치사항 : (중대본) 본부장 주재 회의* 개최(10.31.) * 기관별 조치사항 및 추진계획, 사상자 지원 방안 등 논의 (행안부) 17개 시·도별 합동분향소 설치 및 운영(10.31~) (복지부) 심리상담 부스 설치* 및 마음안심 버스** 배치(10.31.) * 일산 동국대(10.31.), 녹사평역 및 서울역광장(11.1.~) / ** 상담을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찾아가는 심리지원 (경찰청) 경찰, 국과수 등 합동 현장감식(10.31. 14:00경) (외교부) 사상자 명단·소재 확인 및 해당 주한공관 전원 통보(10.31) ※ 외국인 사상자에 대해 내국인에 준해서 치료비, 장례비 등 지원(10.31.) (서울시) 사망자 합동분향소* 운영(10.31~) * 서울광장 서울도서관 정문 앞, 녹사평역 광장 등 - 향후계획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11.1.), 사고 피해수습 지원,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따른 후속조치 추진
▲ 충북 괴산 지진 대처상황 ※ 중대본 1단계 가동(10.29. 08:30~) - 발생개요 : 10.29. 08:27(49초) 충북 괴산군 북동쪽 11㎞ 지역(규모 4.1) ※ (전진) 10.29. 08:27(33초) 규모 3.5/(여진) 21회(10.29. 08:29~11.1. 02:27), 최대규모 2.9(10.29. 08:29, 11.1. 02:27) - 피해현황(잠정) : 19건*(괴산7, 충주8, 음성2, 청주1, 보은1) ※ 인명피해·이재민 없음 * 주택 17건(지붕 2, 벽체 7, 타일 4, 유리 3, 천장 1), 공장 1(천장 1), 석축 1건/건축물 안전상 위험 없음 ※ 유감신고 : 139건(충북 85, 경기 24, 경북 13, 서울 4, 강원 4, 대전・충남・대구 각 2건, 경남・인천・세종 각 1건) - 조치사항 : (산림청) 진앙지(괴산군) 인근 땅밀림 우려지역 현장점검(10.31.) (지자체) 지대본 운영(충북·괴산군 등), 피해상황 파악 및 위험도 평가(괴산, 충추, 음성 등)
▲ 경북 봉화군 광산 매몰 사고 대처상황 - 사고개요 : 10.26. 18:00경/경북 봉화군 소천면/광산 갱도(지하 46m 지점)에서 흙더미 쏟아짐/지하 190m 지점 2명 고립(추정) ※ 작업자 7명 중 5명 탈출 - 구조상황 : 인근 폐갱도를 통해 구조 작업 중(12명씩 4개조, 24시간) ※ 구조를 위한 수평 갱도 325m 중 145m 굴착이 필요, 이중 59m 굴착 완료(잔여 구간 86m),생존 확인 등을 위한 시추(천공) 2개소 중 ①지름 76㎜는 185m까지 시추하였으나 갱도 동공 미발견(다른 지점으로 재시추 작업(11.1.) 예정) ②지름 98㎜는 120m까지 시추 진행 중
▲ 코로나19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20.2.23.~) - 발생현황(10.31.0시) : (신규사망) 18명전일9↓ (재원 위중증) 288명전일16↑ (신규입원) 104명전일39↓ (신규확진) 18,510명전일16,001↓/전주4,214↑(국내18,454*, 해외56) ※ 누계 : 사망 29,176명(치명률 0.11%), 확진 25,557,309명 / * 수도권 10,216명, 비수도권 8,238명 - 예방접종(10.31.0시) : 13,658명(1차584, 2차914, 3차4,960, 4차7,200) ※ 누계 : 1차45,120,806명(인구대비87.9%), 2차44,690,617명(인구대비87.1%), 3차33,654,364명(대상자대비75.4%), 4차7,541,423명(대상자대비38.2%) - 조치사항 : (법무부) 교정시설 내 고위험군 수용자 중점관리 체계* 시행 및 코로나 진료·진단·당일 치료제 처방 등 패스트트랙 구축·운영 * 수용자를 중점관리군과 상시 모니터링군 및 일반 수용자로 구분해 위중증·사망 예방에 주력
▲ 가축전염병 대처상황 <아프리카돼지열병(ASF)>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10.31.) : 양돈 및 야생멧돼지 추가 발생 없음 ※ 확진(누계) : 양돈27건(경기11, 강원11, 인천5), 야생멧돼지2,677건(강원1,682, 경기674, 충북261, 경북60) - 조치사항 : (농식품부) ASF 방역 인프라 설치 공사 실적 미흡(집행률 저조)지자체 추진상황 점검(매주) ※ 양돈농가 2,323호 중 1,343호(57.8%) 공사 완료 <조류인플루엔자(AI)> ※ 위기경보 ‘심각’(’22.10.12.~) - 발생현황(10.31.) : 가금 및 야생조류 추가 발생 없음 ※ 확진(누계) : 가금3건(경북2, 충북1), 야생조류8건(인천1, 경기2, 충북 1, 충남1, 전북2, 경남1) - 조치사항 : (농식품부) AI 사전 예방을 위한 전국 가금농장(4,119호) 일제검사 및 방역취약농장 특별점검(10.27.~11.9.)
▲ 주요사고 - (화재) 07:32경/서울 영등포구 도림동/공사장(신안산선 복선전철) 지하 40m 지점 분전반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09:20)/경상 7명, 분전반 등 소실 - (사업장사고) 09:01경/경기 안성시 보개면/공사장(건설사 신축)에서 작업자가 트레일러 내부 아스팔트 교반기(혼합기) 작동 점검 중 회전하는 날개에 끼임/사망 1명 - (안전사고) ① 11:05경/경기 평택시 현덕면/미곡처리장 내 지게차(브레이크 해제, 미탑승)가 경사로 움직이면서 미곡처리 중인 작업자 충격/사망 1명 ② 12:25경/충북 옥천군 군북면/유해야생동물(야생멧돼지 등) 포획 작업 중 도토리 채취 입산자를 동물로 오인하여 총기 발사/중상 1명 - (화재) 11.1. 04:45경/경남 진주시 상대동/공장(성형제품 제조, 2/1층, 2,172㎡)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진화 중)/재산피해 조사 중 ※ 인명피해 없음
▲ 재난안전 예방활동 등 - (산림청) 가을철 산불과 초대형 산불방지 대책 발표(11.31.) 강화된 산불 진화 동원체계* 적용, 산불 진화 임도 구축 및 불막이 숲(내화수림대) 조성, ‘27년까지 산불진화헬기 48→58대, 특수진화대 435→2,223명 확충 등 ※ 가을철 산불조심기간(11.1.∼12.15.) * 산불 대응 단계를 기존 초기 대응 → 확산 대응(1~3단계)에서 ’국가 총력대응‘ 단계 추가 등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 11회(산악구조 1, 응급환자 3, 화재진화 1, 훈련비행 6) / 4명(구조 1, 구급 3) ❖구급상황관리 : 3,901회(의료지도 482, 대국민상담.지도 3,364, 이송병원선정 39, 헬기 3, 재외국민 13) ❖생활안전조치 : 633회(동물처리 154, 비화재보확인 153, 잠금장치개방 43, 안전조치 11, 기타 272)
◇ 화재진압 ▲ (공사장) 서울 영등포구『○○공사장』 - 07:32~09:20, 공사장 지하 분전반 부근 발화 추정, 경상 7명, 분전반 등 소실
▲ (주 택) 강원 춘천시『○○주택』 - 09:42~10:19, 주차장에서 화재 발생 추정, 경상 5명, 약 180㎡ 및 샤시 등 소실
▲ (공 장) 경기 부천시『○○공장』 - 17:01~17:14, 공장 내부 폭발‧발화 추정, 부상 2명(중상1, 경상1), 공구류 등 소실
▲ (점 포) 대전 서구『○○건물』 - 18:19~18:24, 점포 내부에서 발화 추정, 약 1㎡(10㎡그을음) 및 집기류 등 소실
◇ 구조・구급・생활안전 ▲ (안전사고) 대구 중구『○○건물 철거 공사장』 - 11:20~18:01, 공사장 안전펜스 일부 붕괴, 경상 1명, 응급처치 및 병원이송, 안전조치
11월 1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