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서울 서초갑)은 27일 국회에서 열린 ‘용산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조은희 의원은 “참사현장과 가장 가까운 곳이 순천향대학교병원인데 이곳으로 이송된 80명 중 76명이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며 “재난응급의료 비상대응매뉴얼에 따르면 긴급, 응급, 비응급, 사망자 순으로 이송하게끔 돼 있다. 정작 살릴 수 있는 환자를 먼 곳(병원)으로 보낸 추론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당시 소방 무전 기록을 보면 현장 대원은 왜 순천향대학교병원에 사망자를 보내냐. 산 사람을 보내야 한다고 하고 있다”며 “그런데도 용산소방서장은 사망자를 순천향대학교병원으로 이송하라고 지속해서 지시한다. 이런 지휘 체계가 이해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정부 부처 간 소통 부족이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도 내놨다. 조 의원은 “사망자 판정은 의사만 내릴 수 있는데 당시 소방청의 구급지도의사 두 명이 영상으로 현장을 지시하고 있었다”며 “DMAT(재난의료지원팀) 차가 못 들어와 현장에 혼선이 빚어져 살릴 수 있는 환자를 살리지 못한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고 했다.
그러면서 “2018년 밀양세종병원 화재 당시에도 DMAT과 소방청이 소통이 안 돼 사상자가 더 많이 났다”며 “2018년 이후에도 똑같다”고 한탄했다.
남화영 청장 직무대리는 “그날 용산소방서장이 현장 상황과 인근에 대기 중인 구급차에 따라 판단한 것 같다”며 “구체적인 상황을 보지 않은 상태에서 당시 판단이 적절했는지 말하기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23시 20분에 서울대병원 DAMT팀이 현장에 도착한 이후엔 의료진과 신속대응반이 사망 판정을 했다”며 “그 이전엔 구급대에서 환자를 분류한 거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