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이 안전한 나라를 위해”… 행안부, 실전 중심 재난훈련 체계 개편안전한국훈련 연 3회 실시ㆍ신종재난 선제훈련 마련 등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국가 재난대비훈련의 최상위 계획인 ‘2023년 국가 재난 대비훈련 기본계획’을 수립해 재난관리책임기관에 통보했다고 지난 5일 밝혔다.
올해 기본계획은 안전한국훈련과 상시훈련, 중점훈련 등으로 구성됐다. 먼저 2005년 시작돼 국가재난대비훈련의 근간 역할을 해왔던 안전한국훈련은 기관의 재난대응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현장ㆍ실전 중심으로 개편했다.
매년 5월이나 11월, 1~2주간 집중적으로 진행하던 훈련을 재난 발생 시기와 기관 특성에 맞춰 세 차례 실시한다. 예컨대 1회 풍수해(6월 5일~16일), 2회 지역축제 인파사고(8월 28일~9월 8일), 3회 화재ㆍ산불(10월 23일~11월 3일) 등으로 나누는 식이다. 특정 시기에만 실시하는 훈련은 몰입도가 높은 장점이 있지만 재난환경과 훈련기관의 여건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조정했다는 게 행안부 설명이다.
또 최근 재난대응 시 미흡했던 1차 대응기관(소방, 경찰, 기초 지자체, 재난의료지원팀 등)간 협력을 강화하고 기관 유형별 표준훈련모델을 개발ㆍ보급해 실전처럼 현장 상황에 맞는 훈련을 실시할 계획이다.
안전한국훈련의 보완적 성격인 상시훈련에선 높은 수준의 대응ㆍ수습역량이 요구되는 부분이나 대응 과정에서 미비했던 분야를 선정해 집중적으로 훈련할 방침이다.
기관별로 매뉴얼에 따라 훈련을 진행하고 문제해결형 훈련을 유도해 자체훈련을 실시토록 할 예정이다. 또 최근 재난대응 실제 사례를 토의과제에 반영해 대본 없이 논의하는 상황조치훈련을 진행한다.
중점훈련은 어린이 재난안전훈련과 신종재난 선제훈련(가칭)으로 나뉜다. 2016년 2개교로 시작한 어린이 재난안전훈련은 지난해 175개교가 참여할 정도로 규모가 커졌다.
올해는 어린이들의 재난대응ㆍ회피 역량을 강화하고 안전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심폐소생술과 소화기 직접 체험, 가상ㆍ증강현실 기술 활용 확대 등 흥미 위주로 다양화한다. 훈련 우수학교를 육성해 훈련 요령을 전파하고 담당 교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안내서도 개편할 계획이다.
특히 새로운 유형의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신종재난 선제훈련을 새롭게 마련했다. 현장 중심의 합동 훈련 방식으로 연 3회 정도 추진하기로 했다. 기존 훈련과의 차별성을 꾀하고 훈련 전반에 대한 국민 관심을 높이기 위해 명칭은 공모를 통해 확정할 예정이다.
이한경 재난관리실장은 “올해 국가 재난대비훈련 기본계획은 국민이 안전을 피부로 체감할 수 있도록 훈련별 역할ㆍ내용을 강화했다”며 “모든 기관이 철저히 훈련을 기획하고 차질 없이 수행해 일상이 안전한 나라에 한 걸음 더 다가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