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산불 대처상황 ※ 위기경보 ‘주의’(서울․대구․충북․경북․강원, 4.8.12시/울산․경기, 4.9.14시), ‘관심’(그 외 지역, 4.5.00시~) - 발생현황(4.9.) : 4건*(완진), 피해 면적 0.57ha * 경기 연천군신서면(12:08~12:23/0.01ha/통신선 스파크), 경북 김천시감문면(13:15~14:15/0.05ha/입산자 실화), 강원 평창군미탄면(14:15~16:04/0.50ha/입산자 실화), 울산 동구동부동(17:16~17:40/0.01ha/입산자 실화)
▲ 건조·강풍·풍랑 대처상황 ※ 피해 및 통제 없음(잠정) - 조치사항: (행안부) 재난 예방 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통보(지자체, NDMS) * (건조) 산림 인접 지역에서 낙엽·쓰레기 소각 및 논밭 태우기 등 금지, 산불 대비 신속 대응 태세 유지 등(강풍·풍랑) 해안가, 저지대 예찰 및 주민 사전대피 조치, 항포구 시설물 점검 등 모니터링 강화 등
▲ 코로나19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20.2.23.~) - - 발생현황(4.8.0시): (신규사망) 4명전일5↓ (재원 위중증) 132명전일2↑ (신규입원) 25명전일2↓ (신규확진) 10,372명전일363↓/전주151↓(국내10,360*, 해외12) ※ 누계: 사망 34,322명(치명률 0.11%), 확진 30,904,502명 / * 수도권 6,290명, 비수도권 4,070명
▲ 가축전염병 대처상황 <아프리카돼지열병(ASF)>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4.9.): (양돈) 없음 (야생멧돼지) 6건(충주 3, 울진 3) ※ 확진(누계): 양돈35건(경기16, 강원14, 인천5), 야생멧돼지3,029+6건(강원1,806, 경기674, 충북381+3, 경북168+3) - 조치사항: (환경부) 야생멧돼지 폐사체 수색, 울타리 점검 및 유지·관리(계속) <조류인플루엔자(AI)> ※ 위기경보 ‘주의’(’23.4.1.~) - 발생현황(4.9.): 가금* 및 야생조류 발생 없음 * H5형 항원검출(4.8.): 전남 나주시 육용오리 농장(34천수)/고병원성 여부 확인 중(1~3일 소요 예상) ※ 확진(누계): 가금72건(전남27, 경기12, 충북9, 전북8, 경북5, 충남4, 경남3, 부산1, 인천1, 울산1, 강원1) 야생조류174건(경기35, 강원35, 전남26, 경남17, 충북16, 충남13, 경북10, 전북 9, 제주3, 부산2, 대구2, 울산2, 인천1, 세종1, 서울1, 광주1) - 조치사항: (농식품부) 전남 전체 오리농장·관련시설 및 해당 계열사 일시이동중지명령(36시간, 4.7. 23시~4.9. 11시) 발령 등 (지자체) 해당농장 살처분(4.8.) 및 랜더링 완료(4.9.)
▲ 주요 사고 - (화재) 05:12경/경기 안양시 박달동/아파트(15/1층, 10,679㎡) 14층에서 전기적 요인으로 화재(완진 05:44)/내부 및 가재도구 소실 등※ 인명피해 없음, 단순연기 흡입 22명(병원이송 10명)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 16회(산악구조 7, 응급환자 2, 화재진화 3, 업무지원 2, 훈련비행 2) / 7명(구조 5, 구급 2) ❖구급상황관리 : 5,758회(의료지도 415, 대국민상담.지도 5,297, 이송병원선정 34, 헬기 2, 재외국민 10) ❖생활안전조치 : 323회(동물처리 127, 비화재보확인 78, 잠금장치개방 28, 안전조치 15, 기타 75)
◇ 화재진압 ▲ (주 택) 강원 강릉시『다가구주택』 - 01:49~02:26, 보일러실 전기적 요인 추정 발화, 중상 1명, 15㎡ 및 보일러 소실
▲ (공 장) 경기 화성시『○○테크윈』 - 06:28~07:27, 식당 천장에서 전기적 요인 추정 발화, 165㎡ 및 집기비품 소실
▲ (주 택) 경북 안동시『상가주택』 - 11:39~11:58, 가스레인지 취급 부주의 화재, 경상 1명, 9㎡ 및 가재도구 소실
▲ (공 장) 경기 양평군『○○제조』 - 17:22~20:30, 건물 내부 원인미상 화재, 839㎡ 및 집기비품 소실
▲ (농 막) 충북 보은군『농막』 - 20:05~20:48, 내부 원인미상 화재, 사망 1명, 26㎡ 및 가재도구 소실
4월 10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