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100m 단위로 화재 등 8대 재난 재해 취약성 진단한다‘쇠퇴지역 재난대응형 통합플랫폼’ 개발… 피해 저감 방안 제시
[FPN 최누리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화재 등 8대 재난 재해 유형별 취약성을 정밀 진단할 수 있는 ‘쇠퇴지역 재난대응형 통합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재난 재해 취약성을 분석하는 재난 재해 진단시스템과 취약한 재난 재해 유형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계획수립 지원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재난 재해 진단시스템은 전 국토를 대상으로 재난 재해 위험 정도를 1~5등급으로 도출해 전국과 시ㆍ군ㆍ구, 읍ㆍ면ㆍ동 단위로 상대 비교분석이 가능하다.
또 기존 집계 단위보다 작은 격자 단위(100m)로 구축돼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전 국토의 위험도에 대한 상시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할 수 있다.
계획수립 지원시스템은 재해 발생 위험성이 높은(1~2등급) 지역에 재난 시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LH는 이 플랫폼을 통해 재난 대응에 취약한 지역들이 대응ㆍ복구 중심의 관리체계에서 선제적으로 재난 재해를 예측하고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LH는 내달 지역ㆍ도시 방재 능력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지자체에 플랫폼을 제공할 예정이다. 지난 9일에는 삼성화재 기업안전연구소, 건설 현장 디지털기록 얼라이언스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민간 분야 확대도 추진하고 있다.
김홍배 토지주택연구원장은 “이번 연구 성과가 도시 내 쇠퇴 지역에서 전 국토로, 공공에서 민간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앞으로도 지역ㆍ도시별 재난 재해 대응을 위한 성공적인 협업모델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