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119기고] 감지기 오작동, 소방 안전의 또 다른 위협

광고
송도소방서 미래119안전센터 소방위 신미영 | 기사입력 2025/09/22 [17:05]

[119기고] 감지기 오작동, 소방 안전의 또 다른 위협

송도소방서 미래119안전센터 소방위 신미영 | 입력 : 2025/09/22 [17:05]

▲ 송도소방서 미래119안전센터 소방위 신미영

최근 들어 화재 예방과 대응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화재)감지기 오작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소방 출동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감지기 오작동은 단순한 기술적 오류에 그치지 않고 소방자원의 낭비와 시민 불안, 나아가 안전관리체계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감지기 오작동의 위험성과 조치 방법, 관리 방안, 소방시설의 품질 개선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감지기의 오작동은 여러 문제를 일으킨다.

 

먼저 불필요한 소방 출동으로 인해 인력ㆍ장비ㆍ예산의 낭비가 발생한다. 출동에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실제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오작동은 시민들에게 소방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린다. 그 결과 실제 화재 상황에서 경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대처가 늦어질 위험이 있다.

 

잦은 출동은 소방대원의 업무 부담을 가중시켜 장기적으로 소방 안전 관리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기도 한다.

 

둘째, 오작동 발생 시 조치 방법이다.

 

감지기에서 경보가 울렸을 때는 무엇보다 현장 확인이 우선이다. 화재가 아닌 경우에는 감지기의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에게 수리를 의뢰해야 한다. 또한 즉시 소방서에 연락해 상황을 알리고 불필요한 출동을 막는 것도 중요하다. 더불어 오작동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책을 마련해 같은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셋째, 오작동 예방을 위한 관리 방안이다.

 

감지기의 오작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평소 정기적인 점검ㆍ유지보수를 통해 기기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또 사용자 교육을 통해 감지기의 올바른 사용법과 오작동 시 대처 방법을 숙지하도록 해야 한다.

 

최신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감지기를 도입하면 불필요한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방시설의 품질 개선 필요성이다.

 

오작동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방시설의 품질 개선이 필수적이다. 성능이 검증된 고품질 감지기를 도입하고 제조업체와 협력해 지속적인 성능 점검과 기술 업그레이드를 추진해야 한다. 이를 통해 문제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감지기 오작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소방 출동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 소방력 낭비와 시민 안전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체계적인 관리와 품질 개선, 그리고 시민과 기관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소방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다. 특히 감지기가 작동했을 때는 단순한 오작동이라 여겨 방심하지 말고 즉시 대피한 뒤 119에 신고하며 안전수칙에 따라 행동해 주시길 시민 여러분께 당부한다.

 

송도소방서 미래119안전센터 소방위 신미영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광고
릴레이 인터뷰
[릴레이 인터뷰] “적재적소 역량 발휘할 응급구조사 배출 위해 노력”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