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노래자랑에서 다수 입상 경력이 있는 박정희(광양소방서)직원을 초청하여 여수소방서 직원과 함께 ‘119공연단’을 만들고 여수 시에서 활동하고 있는‘사물놀이 팀’‘에어로빅 팀’‘판소리 팀’ 등 50여명의 공연단을 만들었습니다.
어느 공연 팀보다 환상의 드림팀이 만들어졌습니다. 연말이면 다들 망년회 등 각종 모임으로 바쁠 텐데 ‘사회봉사 활동’에는 적극 시간을 내 주었습니다. 우리사회가 아직도 ‘정’이 많은 사회임에 틀림없습니다.
징 장구 북 꽹과리의 소리에 어깨가 절로 들썩여집니다. 주삼동 사물놀이 팀은 행사가 진행되기 전부터 동백원 마당 앞에서 축제분위기를 돋우고 있습니다. 덩실덩실 절로 어깨춤을 추게 만드는 것은 우리가락이 최고인 듯싶습니다.
이 곳에서 몇 일전부터 봉사활동을 시작하고 있는 학생들을 만났습니다. 정선화씨(청암대 사회복지학과 1년)는 3일 전부터 같은 학과 여섯 명 교우들과 월요일부터 일주일간 봉사 활동을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봉사활동이 힘들지 않느냐는 질문에 “힘든 것보다 아이들이 너무 예뻐요. 힘들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습니다. 모두 아이들 같고 천사 같아요. 잘해주고 싶은데……. 아이들이 웃는 게 너무 예뻐요.”
선화씨 옆에는 그저 표정만 짓고 있는 이름이 석자인 김도우미(여)가 있습니다. “말뿐만 아니라 움직이는데도 힘이 들거든요. 걷는 것만 하여도 감사 할 것 같아요.” 이번 봉사활동에서 맡은 반이 13명인데 거의 다 누워있다고 한다. 주로 하는 일은 밥 먹여주고 기저귀 갈아주고 소화가 잘되지 않기 때문에 배 마사지 해주는 것이고 쉽게 이야기를 하지만 결코 쉬운 일이라고 생각이 들지 않는다.
공연을 준비하는 전문 이벤트 행사 업체가 아니어서 흥에 고조를 맞추는 데는 조금 미흡합니다. 사물놀이 마당에 펼쳐지더니 이번에는 디스코메들리로 에어로빅댄스로 원생들의 마음을 바뀌어 놓았습니다.
원생들에게는 조금은 혼란스럽게 지만 신이 난 원생은 에어로빅댄스에 ‘막춤’으로 땀을 뻘뻘 흘립니다. 이어서 자주 접하기 어려고 생소한 환상적인 ‘룸바’ ‘자이로’ 스포츠댄스에 넋을 잃습니다. 원생들이 스타 드림팀이 만들어내는 ‘흥겨움의 끼’를 한꺼번에 소화하기에는 좀 무리가 따르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우리 소리가 최고여’ 여수시 문화원 판소리 제정화(36) 선생님이 이끄는 어린이 국악단 ‘소리세상 아이들’의 춘향가 중 ‘사랑가’ 민요 ‘뱃노래’는 또 다른 흥겨움을 돋아 줍니다.
억양이 조금 어색하고 몸짓이 부자연스럽지만 노래하고 춤추며 웃고 즐기는 원생들의 모습에서는 살아 있는 ‘흥’이 느껴집니다. 짧은 시간이지만 올 한해의 스트레스를 날려버리고 건강하고 밝은 새해의 활력소가 되었으면 합니다.
“장애인들이 밖에 나가서 편견 없이 살수 있는 게 바램입니다.”
김승용(47) 부원장의 작은 바람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바라보는 장애인들에 대한 시각이 많이 변하였다고 하지만 여전히 편견의 독소는 여전히 많이 남아있나 봅니다. 시 도자치단 및 정부 보조금으로 운영하고 있는 이 곳에는 여전히 아이들의 교육프로그램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현재 여수지역에는 장애인을 위한 학교는 ‘여명학교’밖에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이들의 좋은 교육에는 한계가 있다고 합니다. 자원봉사의 방법이던 시책을 통하여서든 아이들의 좋은 교육프로그램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합니다.
현재 이 곳에는 122명의 지체 장애인들이 있습니다. 주로 기초수급가정 자녀들 18세미만의 아이들이 이 곳에서 생활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지금은 연령층이 다양하게 거주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루 종일 풀어도 해가 짧을 드림팀이 가져온 많은 ‘장끼’는 계획된 두 시간여만 에 끝이 났습니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오늘만 같았으면 하는 바람이 듭니다. 손과 발을 자유스럽게 사용 할 수 없고 시원하게 말을 할 수 없어 답답한 마음으로 살아가면서 사회인들에게 쉽게 소외되기 쉬운 이들에게 속 시원한 날임에 틀림없습니다.
밝은 모습으로 즐거운 시간은 함께 했던 이 들로부터 외관상으로만 보이는 장애를 내면까지 전부 장애인이라고 치부하지는 않았는지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오히려 편협한 사고를 가지고 있는 우리들이 마음의 장애를 가지고 있지는 않은지 돌이켜 보아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