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안전센터 차고지 10곳 중 6곳 배연시스템 없어… 전남은 ‘0’소방공무원 국가직 신분 전환 이후에도 지역 격차 여전
|
![]() ▲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의원 ©임호선 의원실 제공 |
[FPN 최누리 기자] = 119안전센터 차고지 10곳 중 6곳이 배연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의원(충북 증평ㆍ진천ㆍ음성)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19안전센터 1171곳 중 447곳만 차고지에 배연시스템이 설치됐다.
전남의 경우 119안전센터 76곳 모두 차고지에 배연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았고 충북은 35곳 중 2곳에 불과했다. 반면 충남과 대구, 세종은 배연시스템 설치율이 각각 96.91, 94.64, 88.89%였다.
차량에서 나오는 유해가스에 장시간 노출되면 심혈관과 호흡기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소방관들의 건강을 위해선 차고지에 배연시스템 설치가 시급하다는 게 임 의원 지적이다.
출동대기 공간이 비좁은 곳도 많았다. 현행법상 소방관 1인당 평균 출동대기 공간은 10㎡지만 전국 119안전센터의 63.1%가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제주ㆍ창원 100%, 전남 98.68%, 강원 97.26%로 미달됐고 서울 27.03%, 울산 26.91%, 세종 22.22%로 다른 시ㆍ도와 비교해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임 의원에 따르면 2019년 차고지 배연시스템과 소방관 출동대기 공간 규정을 담은 ‘소방청사 부지ㆍ건축기준 규정’이 제정됐지만 강제규정 미흡과 예산 부족 이유로 현장에 반영되는 않고 있는 실정이다.
임 의원은 “소방직이 국가직으로 전환됐지만 지역 간 업무 격차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소방관들이 국민 안전에만 전념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