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7.9.~24일 호우·강풍 대처상황 ※ 호우 위기경보 ‘심각’ 및 중대본 2단계(7.22.21:00~) - 피해현황(잠정): (인명) 사망 47명(경북 25, 충북 17, 충남 4, 세종 1)실종 3명(경북 2, 부산 1), 부상 35명(경북 17, 충북 14, 충남 2, 경기 1, 전남 1) ※ 안전사고: 사망 6명(경기 여주, 충남 아산, 강원 원주, 전북 익산, 전남 영암, 울산 울주), 실종 1명(대구 북구) ※ 경북 예천군 보문면에서 실종자 수색 중이던 해병대원 1명 급류에 실종, 사망(7.20.) ※ 궁평지하차도(사망 14명, 부상 10명, 차량침수 17대) : 추가 수색 및 시설 정비 후 개통 예정(∼8.31.) (공공시설) 7,638건(충북 3,399, 경북 2,012, 충남 1,593, 전북 249, 세종 186, 그 외 199) (사유시설) 3,285건(충북 1,540, 충남 911, 전북 333, 경북 299, 경기 55, 부산 51, 그 외 96) (농작물) 침수 35,036ha, 낙과 355.8ha (가축폐사) 872천 마리 < 7.23.~24. 피해 접수 현황 > (법면유실) 광주~무안간 고속국도 법면유실(10㎥) 응급조치 후 차량통행 중 (사전대피) 광주 광산구 장록교 홍수주의보* 발령(01:40~) 수위 상승으로 주민 56명 구청 및 행정 복지센터로 대피, 전남 6개 시군(목포, 구례, 무안 등) 79명 침수 및 산사태 우려 등 대피 - 응급복구: (사유시설) 3,285건 중 2,185건 완료(66.5%)(공공시설) 7,638건 중 5,328건 완료(69.8%) * 9개 시도 자원봉사자 20,963명 활동 중(7.13.~) 구호상황: (일시대피) 11,972세대 18,418명(미귀가 1,280세대 2,044명) ※ 학교·경로당 등 임시주거시설 1,053세대 1,686명 / 친인척 등 227세대 362명 - 통제상황(05시): (국립공원) 13개 공원 316개 탐방로(무등 63, 지리 30, 덕유 16 등)(여객선) 11개 항로 15척(인천~백령, 목포~율목 등)(철도) 일반철도 운행 중지*, 안전 확보를 위한 감속 및 구간 운휴 시행 * 13개 노선 중 5개(태백·경북·경전(순천~광주송정)·영동(동점~동해)·중부내륙선, ~7.27. 예정), 2개(충북·정선선, ~8.19. 예정), 1개(영동선(영주~동점), 장기간) 운행 중지 (둔치주차장) 147개소 (하천변) 620개소 (도로) 170개소 ※ [필승교 수위] 1m 도달(08:37) → 1.32m(16:15) → 1.6m(19:00) → 1.52m(20:00) → 1.56m(7.24. 05:00) - 조치사항: (중대본) 중앙대책본부장 주재, 호우피해 및 대처상황 점검회의 개최(7.23. 09시, 18시), 중랑천 등 상습침수지역 현장점검(차관, 7.23.) (소방청) 대용량포 방사시스템 등 전진 배치(익산119화학구조센터) 및 급배수 등 지원 (경찰청) 호우 특보, 112신고 현황 등 감안 선제적 비상근무 발령 및 교통통제 등 인력지원 (산림청) 산사태위기경보 추가 상향(심각) 발령(7.23. 21시~) ※ (심각) 서울, 인천, 광주, 대전, 세종,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강원 (경계) 부산, 대구, 울산
▲ 폭염 대처상황 ※ 폭염 위기경보 ‘경계’(‘23.7.1.~) - 인명피해(7.22.): 온열질환 9명, 사망 없음 ※ 질병관리청(온열질환응급실 감시체계) ※ 누계(5.20.~7.22.): (’23년) 온열질환 707명(사망 3명 포함)/(’22년) 온열질환 853명(사망 6명 포함)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7.23.): 양돈 및 야생 멧돼지 발생 없음 ※ 확진(누계): 양돈37건(경기17, 강원15, 인천5), 야생 멧돼지3,159건(강원1,849, 경기674, 충북417, 경북219)
▲ 주요 사고 - (화재) 19:53경/전남 목포시 상동/근린생활시설(7/1층, 2,403㎡) 5층 의원에서 화재(완진 20:41)/건물(5층) 일부 및 에어컨 등 집기류 소실 * 현재까지 인명피해 없음, 19명 자력 대피 / 입원환자 다른 병원으로 전원 예정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4회(산악구조 1, 수색구조 2, 훈련비행 1) / 1명(구조) ❖구급상황관리: 6,211회(의료지도 369, 대국민상담.지도 5,788, 이송병원선정 45, 헬기 1, 재외국민 8) ❖생활안전조치: 1,507회(동물처리 168, 비화재보확인 388, 잠금장치개방 36, 안전조치 109, 기타 806)
◇ 화재진압 ▲ (주 택) 강원 춘천시『○○주택』 - 00:15~00:41, 2층에서 전기적요인 추정 화재, 27㎡ 및 가재도구 등 소실
▲ (주 택) 서울 광진구 자양동『○○주택』 - 01:45~02:20, 3층 안방 침대주변에서 원인미상 화재, 20㎡ 및 가구류 등 소실
▲ (공 원) 강원 삼척시『○○공원』 - 08:50~09:19, 공원 내 조형물에서 전기적요인 추정 화재, 조형물 1개 소실
▲ (상 가) 전남 목포시『○○건물』 - 19:51~20:43, 5층 정형외과 입원실 원인미상 화재, 입원실 내부 소실 및 그을름
▲ (주 택) 광주 광산구『○○주택』 - 20:52~21:18, 주택 1층 안방에서 원인미상 화재, 1층 일부 및 가재도구 등 소실
7월 24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