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폭염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8.1.~) 및 중대본 2단계(8.3.~) - 인명피해(8.3.): 온열질환 122명, 추정사망 1명 ※ 질병관리청(온열질환응급실 감시체계) ※ 누계(5.20.~8.3.): (’23년) 온열질환 1,520명(사망 19명 포함)/(’22년) 온열질환 1,101명(사망 6명 포함) - 재산피해(누계 8.4.): 가축 폐사 236,709마리(돼지 10,039, 가금 226,670) - 조치사항: (중대본) 중앙대책본부 회의 개최(중앙대책본부장) 및 지시사항* 전파(8.4.) * 폭염 대책이 현장에서 잘 이행될 수 있도록 할 것, 주말 동안 폭염 3대 취약분야 현장점검 실시,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대회 폭염 대책을 빠르고 실효성 있게 추진 등 (농식품부) 대응요령 문자 발송(4,345건), 고령농업인 대상 행동요령 안내(961건) 등 (복지부)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 안전관리 사항 모니터링(356,911건) (국토부) 철도 레일변형 여부 점검(961건) 등 * 67개(고속선 5, 일반선 62) 구간 열차 운행속도 제한 (지자체) 비상근무(4,554명), 무더위쉼터 운영(60,409개소), 국민행동요령 홍보 활동 등 * (울산) 2,450여 기업에 ‘무더위 휴식시간제’ 참여 독려 서한문(시장) 발송
▲ 일일 전력수급 전망(8.5.) - (전력수요) 피크시간(19시~20시)에 최대 79,700㎿ 예상 - (전력공급) 공급능력 100,553㎿ → 공급예비력 20,853㎿(26.2%) / 운영예비력* 9,287㎿(11.7%) * 30분 이내 확보 가능한 발전 용량(시운전 발전용량 포함, 4,500㎿ 미만일 경우 ‘관심’ 단계 발령)
▲ 풍랑·너울·호우 대처상황 ※ 피해 없음(잠정) - 통제상황(05시): (여객선) 5개 항로 11척(여수~거문도, 제주 모슬포~마라도 등) - 조치사항: (행안부) 재난 예방 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 * (풍랑·너울) 해안가, 갯바위 낚시객 대피 계도 등 (호우) 산간계곡 내 야영객 대피 등 인명피해 예방 사전활동 철저
▲ 지진 대처상황 ※ 위기경보 ‘경계’ → ‘주의’(8.4.) - 사고개요: 7.29. 19:07경/전북 장수군/북쪽 17km 지역에서 규모 3.5 지진 발생(발생깊이 6km) ※ 최대진도 Ⅴ(전북), Ⅲ(경남·충남·충북), Ⅱ(경북·광주·대전·전남) - 피해현황(잠정): 7건(장수군 5, 진안군 2), 유감신고 52건(전북43,경북4,기타5) ※ 인명피해 없음, 부처 소관 시설물 피해 없음 - 조치사항: (행안부) 지진 중앙대책본부 비상 1단계 해제 및 위기경보 단계 하향 조정(경계→주의, 8.4.)
▲ 엠폭스 대처상황 ※ 위기경보 ‘주의’(‘23.4.13.~) - 발생현황(8.3.): 1명*(내국인) ※ 누계: 132+1명(내국인 120+1, 외국인 12) * 해외 방문력이 없어 국내 감염 추정(최초 증상 발현 전 3주이내 해외 방문력 없거나 관련성 없음) - 조치사항: 확진자 면담 등 심층 역학조사 실시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8.4.): 양돈 및 야생 멧돼지 발생 없음 ※ 확진(누계): 양돈37건(경기17, 강원15, 인천5), 야생 멧돼지3,167건(강원1,850, 경기674, 충북419, 경북224)
▲ 주요 사고 - (화재) ① 12:19경/부산 수영구 민락동/상가건물(2/0층, 267㎡) 2층에서 산소절단기 작업 중 화재(완진 12:51)/건물 일부(30㎡) 및 수산물 등 소실 ※ 인명피해 없음/소방 대응 1단계(12:27~12:36) ② 20:42경/경기 남양주시 진건읍/식용유물류창고(1/0층, 498㎡)에서 발화·연소 확대(완진 8.5. 00:24)/건물 2동(997㎡) 전소, 식용유 소실 등 ※ 인명피해 없음 - (교통사고) 13:24경/경기 가평군 상면/지방도 내리막 커브에서 승용차(3명 탑승)가 중앙선을 넘어 연석과 교통표지판을 충격/사망 3명 - (수난사고) 18:19경/전북 임실군 삼계면/하천에서 혼자 다슬기를 잡던 중 익수(추정)/사망 1명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12회(산악구조2, 응급환자1, 수색구조2, 훈련비행7) / 3명(구조2, 구급1) ❖구급상황관리: 4,136회(의료지도 462, 대국민상담.지도 3,576, 이송병원선정 76, 헬기 3, 재외국민 19) ❖생활안전조치: 3,062회(동물처리 196, 비화재보확인 284, 잠금장치개방 47, 안전조치 30, 기타 2,505)
◇ 화재진압 ▲ (공 장) 경기 부천시『○○공장』 - 05:55~07:57, 미 가동중인 공장 3층에서 원인미상 화재, 공장 1동 910㎡ 소실
▲ (주 택) 서울 동작구『다가구주택』 - 09:44~09:58, 지하 1층 거주자의 번개탄 이용 자살시도로 화재, 바닥 1㎡ 소실
▲ (공 장) 대구 북구『○○공장』 - 10:27~10:45, 화기취급부주의 추정 화재, 공장 2동 270㎡ 소실
▲ (상 가) 부산 수영구『○○상가』 - 12:19~12:51, 산소절단기를 이용한 2층 창고 작업 중 화재, 2층 30㎡ 등 소실
▲ (창 고) 경기 남양주시『○○창고』 - 20:42~00:24, 창고 내 원인미상 화재가 인접 3개동으로 연소확대, 3개동 전소
8월 5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