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11월 1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23/11/01 [09:02]

11월 1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23/11/01 [09:02]

■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가축전염병 대처상황

 <럼피스킨병(LSD)>                       ※ 위기경보 ‘심각’(’23.10.20.~)

- 발생현황(10.31.): 2건(강화 1, 고창1)   * 검사 중 3건(평택 1, 신안1, 강화 1)

     ※ 확진(누계): 69+2건(충남 24, 경기 26, 인천 8+1, 강원 5, 전북 3+1, 충북 1, 전남 1, 경남 1)

- 조치사항: (농식품부·지자체) 발생 농장 출입통제 및 긴급 살처분, 경남도 일시이동중지 조치(10.30. 11:00~10.31. 11:00), 생산자단체 등과 방역 대책 협의*(10.31.), ‘전국 일제 방제소독 주간’** 운영(11.1.~11.10.)

     * (참석) 농식품부(농업혁신정책실장 주재), 한우협회, 낙농육우협회, 한돈협회,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 대한수의사회 / (내용) 긴급 백신의 신속한 접종, 구제역 등 정부와 지자체의 긴급 방역 조치에 적극 협력 등

     ** 가용 지자체 보건소 방제소독 차량 및 농장 보유 연막소독기 등 총동원, 매일 16~18시에 일제히 소독, 젖소 농가의 경우 적용 대상 살충제(9종) 이외에 사용 금지 등 유의 사항 안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10.31.): 양돈 및 야생 멧돼지 발생 없음

     ※ 확진(누계): 양돈38건(경기17, 강원16, 인천5), 야생 멧돼지3,303건(강원1,870, 경기674, 충북427, 경북332)

 <조류인플루엔자(AI)>                     ※ 위기경보 ‘주의’(’23.10.1.~)

- 발생현황(10.31.): 가금 및 야생조류 발생 없음

 

 강풍·풍랑·안개·최대해수위 대처상황                   ※ 피해 없음(잠정)

- 통제상황(05시): 통제 없음

- 조치사항: (행안부) 재난 예방 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

     * (강풍·풍랑) 농림시설, 수산증양식 시설 보호조치, 물건과 간판 날림으로 인한 2차 피해 예방 홍보(안개) 안개 심한 지역 운행 시 비상등 점멸, 터널 입·출구 및 커브길 서행 등 교통안전 홍보(최대해수위) 해안가 및 갯바위 낚시객 대피 계도, 해안가 저지대 침수 주의 등

 

 주요 사고

- (산불) 전남 보성군율어면(15:33~16:58)             ※ 피해 면적 및 원인 조사 중

- (기타) 20:12경/서울 강서구 방화동/김포공항역 지하 3층 승강장에서 연기 발생 신고

   -승객 대피 및 김포공항역(9호선, 공항철도) 상하선 열차(25개) 무정차 통과(20:27~), 승강장·선로 상태 확인 등 안전조치 후 운행 재개(21:25)

     ※ 서울시 메트로 9호선 직원 및 소방에서 승강장 및 선로를 확인하였으나 연기 발생 지점 확인 불가, 연기·냄새 추가 확산이 없어 운행 재개 / 전기시설 재점검(11.1. 예정)

 

 재난안전 예방활동 등

- (관계기관) 핼러윈 축제 기간(10.27.~11.1.) 주요 지역 인파 관리

  주요 인파밀집 우려지역* 중심으로 지자체, 경찰, 소방 등 협업체계 구축, 지하철역 입·출구 분리 등 시민불편 최소화 및 안정적 인파관리 추진

     * 서울 이태원·홍대·명동, 대구 동성로

     ※ 경찰 3,462명(일평균 692명), 소방 858명(일평균 172명), 지자체 공무원 1,708명(일평균 341명) 참여, 홍대 클럽거리 인파 밀집 시 AI인파밀집분석시스템 가동(29일 01시)·위험상황 확성안내 등 현장 안전관리에 총력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구 분

화 재

구 조

구 급

생활안전

건 수

사 망

부 상

피해액

(백만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일 계

85

1

6

456

762

188

4,948

5,003

729

23

❖헬기출동: 29회(산악구조 5, 응급환자 6, 화재진화 1, 훈련비행 17) / 10명(구조 4, 구급 6)

❖구급상황관리: 2,989회(의료지도 380, 대국민상담.지도 2,558, 이송병원선정 39, 헬기 4, 재외국민 8) 

❖생활안전조치: 729회(동물처리 176, 비화재보확인 168, 잠금장치개방 57, 안전조치 18, 기타 310) 

 

◇ 화재진압

 (기  타) 경기 평택시『푸드트럭』

- 03:05~03:18, 휴대용 발전기에 연료 주입 중 부주의 화재, 발전기 1대 등 소실

 

 (공  장) 경기 포천시『○○산업』

- 10:49~11:05, 페드럼통 용접작업 중 부주의 화재, 옥외저장탱크 유량계 등 소실

 

 (아파트) 충북 청주시『○○아파트』

- 14:02~14:13, ○○호 베란다에서 담뱃불에 의한 화재, 9.9㎡ 및 수납장 등 소실

 

 (가건물) 서울 서초구『주거용 가건물』

- 19:44~21:27, 원인 미상 화재, 1명 사망 및 가건물 1동 전소

 

◇ 구조ㆍ구급

 (농기계) 강원 영월군『○○밭』

- 12:32~13:24, 콩 탈곡 중 탈곡기에 팔이 끼임, 사망 1명

 

11월 1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광고
릴레이 인터뷰
[릴레이 인터뷰] “적재적소 역량 발휘할 응급구조사 배출 위해 노력”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