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2월 20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24/02/20 [09:02]

2월 20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24/02/20 [09:02]

■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풍랑·강풍·대설·결빙 등 대처상황

- 피해현황(2.18.): (인명피해) 한랭질환자 없음 ※질병관리청(한랭질환응급실 감시체계)

     ※ 한랭질환 누계(‘23.12.1.~’24.2.18.): 368명(사망 12명 포함)/(전년 동기) 425명(사망 12명 포함)

- 통제상황(05시): (국립공원) 2개 공원 21개 탐방로(설악 14, 오대 7)(여객선) 10개 항로 14척(인천~백령, 목포~홍도, 대천~외연도 등)

- 조치사항: (행안부) 재난 예방 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강원·경북동해안 중심 강설 대비 안전관리 철저 요청(공문, 2.19.), 산불 및 아파트 화재 대비 국민행동요령 홍보(재난방송) 등

     * (풍랑·강풍) 어선 입·출항 및 연안여객선 통제, 광고판 시설물 점검·관리 철저, 2차 피해방지 등(대설·결빙) 취약도로 제설 철저, 농림시설 안전관리, 등산객 하산조치 등 인명피해 예방 철저

   (해경청) 너울성 파도 대비 방파제, 갯바위 등 연안 안전 취약 지역 순찰 강화 등

   (도로공사) 도로결빙 대비 제설제 예비 살포 등(영동선 등 7개 노선/810㎞)

 

 가축전염병 대처상황

 <조류인플루엔자(AI)>                    ※ 위기경보 ‘심각’(’23.12.01.~)

- 발생현황(2.19.): 가금 및 야생조류 발생 없음

     ※ 확진(누계): 가금 31건(전북 18, 전남 8, 충남 3, 경기 1, 경북 1), 야생조류 19건(경북 8, 전북 3, 경남 3, 광주 2, 제주 2, 충남 1)

 <아프리카돼지열병(ASF)>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2.19.): (양돈) 없음 (야생 멧돼지) 1건(경북예천 1)

     ※ 확진(누계): 양돈40건(경기18, 강원16, 인천5, 경북 1)야생 멧돼지3,704+1건(강원1,891, 경기674, 경북667+1, 충북456, 부산 16)

- 조치사항: (환경부) 야생멧돼지 수색·포획 등 확산 방지조치 지속 추진

 

 주요 사고

- (화재) 21:35경/경기 이천시 신둔면/원단 생산 공장(3/0층, 7개동, 5,818㎡)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2.20. 05:05)/공장 2개동 전소 등

     ※ 인명피해 없음/소방 대응 1단계(21:53)→2단계(22:13)→1단계(2.20. 00:34)→대응 1단계 해제(02:33)

- (사업장사고) 08:26경/경기 안양시 안양동/상가건물 3층에서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포장이사 중 작업자가 건물외부로 추락(높이 약 7.9m)/사망 1명

< 의사 집단행동 관련 의료계 및 정부대응 동향(2.19.) >

- (총리실) 국무총리 주재 관계장관 회의 개최(2.19.), 상황공유 및 향후 대응방안 모색

  ※ ①비상진료대책 차질 없이 운영, ②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 운영(2.19. 09:00~, 국번없이 129),③불법적 집단행동에 대해 법에 따라 신속·엄정 대처

- (행안부) 지자체 비상진료 대책 점검·지원을 위한 지역책임관 파견(과장급, 2. 20.~22.)  ※ 시·도별 각 1명

- (중앙사고수습본부) 221개 전체 수련병원 소속 전공의 대상 진료유지 명령*(2.19.), 및 현장점검 실시(2.19., 세브란스계열 등 8개 병원)

  * 의료법 제59조 제1항(지도와 명령)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보건의료정책을 위하여 필요하거나 국민보건에 중대한 위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의료기관이나 의료인에게 필요한 지도와 명령을 할 수 있음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구 분

화 재

구 조

구 급

생활안전

건 수

사 망

부 상

피해액

(백만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일 계

86

0

1

1,495

824

206

4,670

4,780

993

30

❖헬기출동: 1회(화재진화)

❖구급상황관리: 5,111회(의료지도 504, 대국민상담.지도 4,574, 이송병원선정 31, 헬기 0, 재외국민 2) 

❖생활안전조치: 993회(동물처리 118, 비화재보확인 700, 잠금장치개방 34, 안전조치 60, 기타 81) 

 

◇ 화재진압

 (창  고) 전북 정읍시『단독주택 내 창고』

- 06:40~07:00, 지붕 위 전기태양광 인버터에서 화재, 창고 1개동 및 태양광 설비 등 소실

 

 (아파트) 경기 성남시『○○아파트』

- 07:27~08:36, 경비원 휴게실에서 원인 미상 화재, 휴게실 30㎡ 및 가재도구 등 소실

 

 (비닐하우스) 제주 서귀포시『비닐하우스』

- 07:47~09:32, 비닐하우스에서 원인 미상 화재, 비닐하우스 3개동 및 난방용 등유 탱크 소실

 

 (창  고) 경기 양주시『농업기술센터 창고』

- 10:55~12:22, 창고에서 원인 미상 화재, 창고 전소 및 방역물품‧냉장고 등 소실

 

 (아파트) 서울 양천구『○○아파트』

- 21:44~22:56, ○○호에서 전기적 요인 추정 화재, 내부 36㎡ 및 가재도구 등 소실

 

2월 20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광고
릴레이 인터뷰
[릴레이 인터뷰] “적재적소 역량 발휘할 응급구조사 배출 위해 노력”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