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개 재난책임기관 공동정보망 구축
재난관리지리정보시스템.데이터베이스 구축 재난. 긴급신고 119 통합운영 추진 국가안전관리 2단계 사업이 추진되는 향후 5년간 건설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71개 재 난책임기관이 함께 재난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범정부 재난관리 네트워크가 단계적으 로 구축된다. 또 2009년까지 재난관련 정보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재난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재난 관리 지리정보시스템(gis)도 만들어진다. 이와 함께 화재, 구조, 구급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는 119 신고전화를 자연재난, 전기 사고, 해양오염 사고와 응급의료 상담까지 모두 통합하는 방안이 2009년까지 단계적으 로 추진된다. 소방방재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국가재난관리 업무 재설계와 국가안전관리정보화 전 략계획을 3일 개최되는 국가재난관리 토론회에 보고하고, 의견 수렴을 거칠 계획이라 고 2일 밝혔다. 이 전략계획에 따르면 공동정보망인 범정부 재난관리 네트워크를 1차로 2006년 말까 지 실시간 재난정보를 갖고 있는 건교부와 해양부 등 21개 기관에 설치하고 이어 2차 로 산업자원부, 농림부 등 19개 기관과 3차로 문화재청 등 31개 기관까지 확대 구축 할 계획이다. 또 재난현장에 대한 효과적인 지휘, 통제를 위해 유.무선 송신장비 두절에 대비, 위성 영상 중계 장비(sng)를 관할 지역이 넓은 광역 시도에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sng는 현재 경기도에서 1대가 운용중에 있고 소방방재청에 상반기중 2대가 도입될 예 정이다. 이와 함께 2단계 사업기간에 재난관리 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고 대국민 서비스를 강화 하기 위해 대국민 온라인 포탈(www.u-safe.go.kr)과 원격 응급지원 시스템. 재난종합 안내센터 구축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충북대 이재은 교수(행정학) 등이 주제 발표자로 나와 선진재난관 리체계 구축과 관련, ▲신속대응복구비 계정 설치 ▲민간주도 시설물 안전 점검체계 구축 ▲가칭 방재안전공단 설립 필요성 등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이 사업을 통해 재난관리 정보소통의 고속도로 기능을 수행할 국가안전관리종합정보시스템이 구축되면 각급 재난관리 책임기관들이 효과적으로 재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게 돼 재난 대처 능력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 다. 또 그는 또 2단계 사업 완료후 2010년부터는 사전대비 중심의 재난대응체계를 구축 해 연간 1천68억원의 재산피해를 줄이고 또 인명피해도 연간 기준으로 현재 100만명 당 16.5명을 11.1명으로 낮춰 선진국 수준을 뛰어넘는 안전관리시스템을 만들 계 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동정보망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