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재난 안전 관리상황
▲ 5001함 이동상황(복귀) 및 안전관리 - 04:00 日 홋가이도 동방 12해리 해점 항해중(270°- 13노트) / 1.11(일) 08:00 부산 도착 예정 ※ 서풍 20∼24m/s, 파고 3∼4m, 시정 0.5해리, 흐림, 수온 2, 기온 0 ※ 인원(함장 김동진 등 73명) 및 장비(주기관, 발전기 등 보통상태) 이상 없음 러시아, 일본 구조조정본부와 이동정보 등 안전정보 지속 공유 ※ 남은거리(현위치∼부산) 850해리 , 소요시간 약 3.3일(10∼12노트 기준) ▲ 구제역 대처상황(1.7. 23:00 기준) * 최초(12.3, 진천) / ‘경계’ 발령(12.18) /최근(1.7, 괴산) - 발생(누계) : 양성 11건*(돼지 10, 소 1), 37개 농장 * 경기2(이천, 용인), 충북5(진천 2, 청주 2, 음성), 충남1(천안), 경북3(영천, 의성, 안동) - 살처분(일계/누계) : 3개 농장 828두/39개 농장 28,849두 ※ 1. 7(수) 돼지농장 2개소 의심축 신고(충북 괴산–양성 판정) ※ 세종시-1.8(목) 검사결과 발표예정 - 소방력 지원(일계/누계) : 93명 50대/406명 212대, 급수(143톤/719톤) - 시ㆍ도 부단체장 영상회의(1.8) : 안전처장관(주재), 농식품부 국장 등 참석 구제역 확산 방지대책, 방역추진시 애로 및 협조요청사항 등 논의 - 방역대책관련 당정협의(1.8, 국회) : 정책위의장, 농식품부 장관 등 17명 참석 ▲ AI 대처상황(1.7. 23:00 기준) * 최초(’14.9.24, 영암) / ‘경계’ 발령(9.25) / 최근(1.6, 무안) - 발생(누계) : 양성 5건* * 전남 영암(9.24, 9.30), 전북 김제(11.9), 전남 보성(11.13), 전남 무안(’15.1.6) - 소방력 지원(일계/누계) : 10명 6대/63명 38대, 급수(28톤/179톤) ▲ (정전사고) 경기 군포시「산본지역 일대」(1.7) - 20:00경, 수전설비케이블 고장, 승강기 구조(4건 5명) * 23:25경 1,359가구 복구완료 ■ 재난안전 예방 활동 및 훈련 ▲ 안전처, 다중이용업소 등의 소방안전관리 강화(1.7) - 지상층 밀폐구조 다중이용업체도 간이스프링클러 설비 설치 의무화, 300세대 이상 아파트에 소방안전관리보조자 제도 도입 ▲ 안전처, 2015년도 풍수해보험*사업 본격 시행(1.7) - 국비지원 예산 192억원 확보, 지원대상 대폭 확대(480만명→ 650만명) * 태풍ㆍ호우ㆍ강풍ㆍ대설 등으로 인한 피해 보상을 위한 정책보험(’06. 5 시범 도입) ▲ 고용부, 고소작업차와 이동식크레인 안전장치 개선비용 지원(1.7) - 금년 1월부터 사망사고 다발 고소작업차와 이동식크레인의 안전장치 개선시 차량당 최대 2천만원까지 지원 ※ 고소작업차와 이동식크레인 등 안전사고 : (’14년) 39명 사망, 11명 부상 ▲ 식약처, 축산물 허위표시·과대광고 행위 단속(1.14∼16) - 설 명절을 앞두고 축산물 생산·판매 영업자의 홈페이지 및 온라인 쇼핑몰 등 집중 점검, 적발시 행정처분 및 위반사항 공개 계획 ■ 소방안전 활동 상황 ◇ 소방활동 총괄
◇ 화재진압 활동 ▲ (아파트) 서울 양천구 목동동로 12길『아파트 109호』 - 06:15~06:34, 원인 조사중, 부상2명(중상1,경상1)/단순연기흡입 43명, 6개병원 분산이송 * 거주자 및 상층부 단순연기 흡입자 총 45명 발생–35명 귀가(17:00기준) ▲ (공 장) 경남 밀양시 상남면『농작물 건조・포장공장(3개동 825㎡)』 ꔄŭ> - 07:10~07:52, 건조기 단락 추정, 공장 1개동(396㎡) 전소 및 기계류 소실(130백만원) ▲ (주 택) 경기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단독주택』 ꓬŭ> - 14:51~15:19, 화목난로 연통과열, 사망1명(남 73), 30㎡ 및 가재도구 소실(15백만원) ▲ (차 량) 경기 양주시 백석읍『백석중학교 앞』 ꔄŭ> - 23:55~01:19, 시내버스가 승용차・전신주 추돌 후 화재발생, 부상6명(중상1, 경상5), 버스 전소(10백만원) ◇ 구조・구급 활동 ▲ (폭파협박신고) 서울 여의도동『국회의사당 폭파 협박신고』 ꓬŭ> - 12:15경, 소방력 출동 확인결과 허위신고, 협박범(남60/경기여주) 정보제공, 경찰 검거 * 경찰 조사 결과 구제역으로 너무 화가나서 전화했다고 진술 ▲ (헬기이송) 인천시 옹진군 백령면『백령병원』 ꔄŭ> - 13:33~16:39, 주민(남 85)이 급성질환으로 내륙 이송 후 119구급차로 순천향병원 이송 ◇ 기타활동 ▲ 대설ㆍ한파 소방력 지원(1.7) : 7명 3대 / 총 3건 / 누계 19건 ꓬŭ> - 급수지원 1건 / 3톤 (강원 화천), 구조・구급2건(낙상) ▲ AI 소방력 지원(1.7/누계) : 10명 6대/63명 38대, 급수지원 28톤/179톤 ▲ 구제역 소방력 지원(1.7/누계) : 93명 50대/406명 212대, 급수지원 143톤/719톤 ■ 해양경비 안전 활동 상황 ◇ 해경활동 총괄
◇ 외국어선 단속 ▲ (감시) 목포 가거도 기상불량 피난 중국어선 104척(1508함 감시) ◇ 해양 사고 ▲(침몰사고) 군산, 모래채취 예인선·부선 침몰(진행) - 피해사항 : 선원 11명 전원구조, 대흥8호(예선) 침몰(1.7. 00:05), 대흥7호(부선) 선체 선수부분 수면상 상태로 침몰 표류 중(1001함 안전관리) - 사고해역 엷은 유막(폭50m×길이5㎞) 소멸 중, 8일 박명시 항공예찰 후 오염발견시 함정 2척(3010․322함), 방제정 5척(해경3․공단2) 추가 동원 예정 ▲ (선박사고) 목포·동해, 좌초․좌주 선박(2척) 발생 - 1. 7. 05:30 목포 가거도항 방파제 테트라포드에 어선(60톤, 3명) 좌초 ⇒ 오일펜스(80m)설치(1508함 안전관리), 예인선 목포항 출항 예정(1. 8. 08:00) - 1. 7. 10:43 동해 묵호항 북방파제, 화물선(2,116톤, 11명) 좌주 ⇒ 이초완료(13::40), 묵호항 접안 ▲ (선박접촉) 통영, 어선 간 접촉사고 발생 - 1. 7. 10:28 거제 해금강 남서방 3해리(5㎞), 909현대호(152톤)․천양호(4.9톤) ⇒ 선원 2명 경상 ▲ (오염방제) 여수, 조선소 상가 어선 유류 해상유출 - 1. 7. 09:10 갑판상 적재 벙커A 80ℓ 유출 ⇒ 함선 5척(해경4․공단1) 동원 방제완료(12:20) ▲ (응급환자) 인천, 응급환자(3명) 헬기 후송 - 1. 7. 06:32 대이작도 주민, 복통호소 / 7일 14:25 백령도 주민 2명, 위출혈․손가락 봉합 ⇒ 인천 전용부두 도착, 119 인계(인천기독병원․인하대병원 후송) ◇ 5001함 동향 ▲ 1. 8. 04:00 日 홋가이도 동방 12해리 해점 항해중(270°- 13노트) 1월 8일 06:00 기준. 자료 :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