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재난 안전 관리상황 ▲ 5001함 이동상황(복귀) 및 안전관리 - 1. 9. 04:00 부산 북동방 600해리(230°- 13노트) 항해 중(ETA 1.11. 08:00) - 1. 9. 02:50 일본 쓰가루 해협 통과, 소요기간 약 2일(1.11. 08:00경 부산 감천항) ※ 인원(함장 김동진 등 73명) 및 장비(주기관, 발전기 등 보통상태) 이상 없음 ▲ (선박 전복) 전남 진도 남동방 3.6해리 태승호 전복사고(1.8) - (인명피해) 1명 사망 * 승선인원 3명 중 2명 구조 - (사고개요) 1.8. 13:28경 전남 진도 남동방 3.6해리 해상, 김 채취선(태승호, 2.39톤, 승선원 3명) 전복 침몰 ※ 동원세력 : 해경함정 5척, 헬기 3대(해경 2, 소방 1), 122구조대 등 동원 ▲ 구제역 대처상황(1.8. 23:00 기준) * 최초(’14.12.3, 진천) / ‘경계’ 발령(’14.12.18) - 발생(누계) : 양성 12건* 38개 농장(소 1, 돼지 37) * 경기 2(이천, 용인), 충북 5(진천 2, 청주 2, 음성), 충남 1(천안), 경북 3(영천, 의성, 안동), 세종 1 - 살처분(일계/누계) : 8개 농장 2,034두/42개 농장 31,957두 ※ 1. 8(목) 경기 안성 돼지농장 4개소 의심축 신고(1.9. 판정 예정) ※ 안전처차관 : 총리 수행 및 거점소독시설(진천군) 현장방문 - 시ㆍ도 부단체장 영상회의(1.8) : 안전처장관(주재), 농식품부 기획조정실장 등 참석 - 구제역 확산 방지대책, 방역추진 시 애로 및 협조요청사항 등 논의 ※ 장관→도지사 전화(1.7) :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도지사의 각별한 관심 요청 - 방역대책관련 당정협의(1.8, 국회) : 정책위의장, 농식품부장관 등 17명 참석 - 구제역 백신접종률 70→100% 높이는 방안 검토 등 ※ 소방력 지원(일계/누계) : 87명 51대/493명 263대, 급수지원 172톤/891톤 ▲ ‘한파’ 대처상황(1.8∼9) * 한파주의보 : 경기(5), 강원(16), 충북(4), 경북(3) - 피해상황(잠정) : 수도계량기 13건, 수도관 2건 동파(복구 완료) - 24시간 상황유지(4개 시·도 549명), 취약계층 보호(11,493명), 긴급점검반 운영(69개반 240명) 등 ▲ (지진) 20:15경 인천 옹진 연평도 남남서쪽 18km 해역 규모 3.5 발생 * 피해예상 안됨 ■ 재난안전 예방 활동 및 훈련 ▲ 안전처, ’15년도 중앙행정․공공기관 재난관리평가지침 설명회(1.9) - 재난관리평가지침 설명 및 준비사항 점검 등 ▲ 기상청, 2014년 국내․외 지진 발생 현황(1.8) - 국내 지진(규모 2.0 이상)은 총 49회 발생, 연평균 횟수(47.7회)와 비슷한 수준 ※ ’14년 가장 큰 규모 지진은 충남 태안군 서격렬비도 서북서쪽 100km 해역 발생 규모 5.1 지진 - 14년 전세계 지진(규모 5.0 이상) 횟수는 총 1,734회로 연평균 1,636회보다 98회 증가 ■ 소방안전 활동 상황 ◇ 소방활동 총괄
◇ 화재진압 활동 ▲ (음식점화재) 인천 중구 인현동『1층 간장게장 식당(3/0층)』 - 11:58~자체진화, 내부에서 발화, 사망 1명(남/44세, 거동불편), 3㎡ 및 식탁 등 소실(100만원) ▲ (주택화재) 충남 아산시 음봉면『단독주택(1층 97.22㎡)』 *미담사례 - 17:01~17:30, 화목보일러 발화, 행인 2명이 거주자 2명 대피 및 소화기 진화, 10㎡ 및 집기류 소실(3백만원) - ○○회사 직원 2명(남/33, 남/28)이 차를 타고 거래처를 가던 중 주택 내 화재 발생을 확인하고 주택 내 거주자 2명(여/69, 남/6)을 대피시키고 인근 소화기(10대)를 동원하여 화재를 진압함 ◇ 구조・구급 활동 ▲ (열차사고) 경북 의성군 의성중학교 인근『무궁화 열차(정동진→동대구)』 - 11:03, 건널목에서 보행자 치임 사고, 사망 1명(여/38세), 훼손이 심하여 경찰 인계 ▲ (차량화재) 충북 괴산군 연풍면 중부내륙고속도로『연풍터널(하행선)』 - 19:16~19:45, 엔진과열 추정, 인명피해 없음, 아반테차량(2001년식) 반소(1200천원) * 연풍터널 총 길이 1,240m 중 700m지점에서 발생 / 차량통제 등 도로공사와 신속한 협업대응 ▲ (구급이송) 제주 애월읍『한라산 등산객(사제비 동산)』 - 11:57, 부정맥에 의한 실신, 사망 1명(남/67세, 심정지), CPR 및 병원이송 * 어리목에서 2.5㎞ 지점, 짙은 안개 등 가상 악화로 소방헬기 출동 불가(들것 이송) ▲ (헬기이송) 인천 웅진군 백령면『백령병원 교통사고 환자 2명』 - 19:05~22:11(병원도착), 2명(뇌출혈/안구파열)의 환자 육지 이송, 119구급차 병원이송 ◇ 기타활동 ▲ AI 소방력 지원(1.8/누계) : 16명 10대/79명 48대, 급수지원 40톤/219톤 ■ 해양경비 안전 활동 상황 ◇ 해경활동 총괄
◇ 해양 사고 ▲ (익수자구조) 목포, 항내 익수자(시각장애인) 구조 - 1. 8. 11:16 목포 서산동 수협위판장 안벽 앞, 122구조대 구조(생명 지장없음) ▲ (오염방제) 통영, 조선소 예인선(170톤) 유류(벙커A 61ℓ) 유출 - 1. 8. 10:49 경남 거제시 S중공업 거제조선소, 함선 10척 동원 12:00 방제완료 ▲ (안전관리) 제주, 기관고장 화물선(35,890톤, 공선, 20명) 투묘(303함 안전관리) - 1. 8. 05:20 애월항 근해 ⇒ 수리기술자 편승(22:00) 시운전(1.9 04:00) 여수 항해예정 ▲ (오염사고) 군산(어청도), 침몰선박(모래채취예부선) 방제조치(3일차) - 사고해역 인근 해역 길이 4km × 폭 25m 엷은 유막, 방산 작업 중 - 동원세력 : 함선 4척(해경 3, 구난업체 1), 헬기 1대 - 1. 9. 09:00 선체인양 가능성 조사차, 구난업체(예인선) 비응항 출항예정 ▲ (좌초어선) 목포(가거도), 좌초(1.7) 어선(60톤) 인양작업(3일차) - 1. 9. 13:00경 202대진호 잠수부(2명) 침수선박(웅진호) 크레인 이용 인양작업 예정 ▲ (음주운항) 인천, 팔미도 항해 예인선(141톤) 단속 - 1. 8. 음주운항 의심 접수(인천 VTS 통보) ⇒ P-12정 단속, 투묘조치 안전관리 1월 9일 06:00 기준. 자료 :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