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생활밀착형 방재정책이 필요하다

방재 및 재난관리행정에 관한 국민의식 조사실시

광고
이지은 기자 | 기사입력 2005/12/21 [03:49]

생활밀착형 방재정책이 필요하다

방재 및 재난관리행정에 관한 국민의식 조사실시

이지은 기자 | 입력 : 2005/12/21 [03:49]

우리 국민들의 방재의식 및 재난대비 수준은 대체로 낮았으며 따라서, 실습·체험중심의 범국민 방재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방방재청(청장 권욱) 국립방재연구소(소장 노삼규)에서는국민생활밀착형 방재 정책 시행을 위한 국민들의 방재의식과 재난관리행정에 대한 개선 방안 조사를 위해 일반국민·공무원·방재전문가(총 1,785명)를 대상으로 "방재 및 재난관리행정에 관한 국민의식조사"(한국갤럽조사연구소, '05. 10. 25∼11. 16)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민 방재의식 및 재난 대비 수준에 대해서는 재난 발생 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일반국민과 전문가는 "체계적인 예방사업 투자"를, 공무원은 "국민들의 방재의식 제고"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으며, 전문가들은 일반국민들의 재난에 대한 인식 중 가장 잘못된 부분으로 "재난 이해 및 방재의식 부족"을 지적하고 있으며, 공무원들은 특히 "재난과 관련하여 모든 것을 정부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재난이 발생하면 어떻게 행동해야 할 것인가를 주위사람과 상의한 적이 있는 국민은 전체 일반국민 응답자(1,006명)의 12.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일반국민 응답자(1,006명)의 17.3%만이 거주지에서 재난이 발생할 경우 위험한 지역이 어느 곳인지를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국민 응답자(1,006명)의 과반수 이상(60.0%)이 재난 발생 시 대응요령을 알지 못하고 있으며, 일반국민 응답자(1,006명)의 64.1%가 재난발생시 대피 장소를 알고 있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거주지역에서 재난 대비를 위해 필요한 정보에 대해, 일반국민(89.1%)·공무원(82.3%)·전문가(93.4%) 모두 "재난 발생 시 대피장소와 대피경로"를 응답하여 이에 대한 홍보가 더욱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반적으로 우리 국민들의 방재의식 및 재난 대비 수준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일상생활 속에서의 방재의식 제고 방안과 생활밀착형 방재정책의 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실습·체험중심의 대국민 교육·홍보 강화가 가장 시급한 재난 대비책으로 조사되어 선진형 자율책임 안전의식 정착을 위한 범국민 방재교육이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난 발생 가능성 및 피해 예상 정도에 대해서는 대규모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재난에 대해 일반국민과 공무원은 "태풍/폭풍/해일"을 전문가는 "홍수/호우"라고 응답하였으며, 발생시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재난은 일반국민, 공무원, 전문가 모두 "태풍/폭풍/해일"을 가장 많이 지적하여"풍수해" 피해가 가장 큰 우리나라의 자연재난 여건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거주지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큰 재난으로는 일반국민과 전문가는 "황사"를, 공무원은 "산불"을 가장 많이 지적하여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지진"의 경우에는 발생가능성을 높게 생각하고 있진 않지만, 재난발생 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기존 시설물의 내진성능 검토 등 적극적인 지진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난관리행정에 대해서는 소방방재청 추진사업중 "휴대폰 긴급재난문자방송"이 가장 효율적으로 추진되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국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적극적인 생활 밀착형 방재정책의 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앞으로의 계획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소방방재청에서는 가장 시급한 재난 대비책으로 조사된 실습·체험중심의 대국민 방재 교육·홍보에 보다 전문적인 접근과 강화를 통해 선진형 자율책임 안전의식 정착에 노력할 계획이며, 앞으로도 각종 안전정책의 소비자인 국민들의 방재의식과 안전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국민생활밀착형 안전정책을 추진하여 국민이 편안하고 안전한 한국(safe korea)을 실현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소방방재청 관련기사목록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