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운소방 불량소화기 사건이 터진지 한 달이 되어가고 있지만 리콜이 더디게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청운소방이 지난 4일 당좌거래정지로 사실상 부도 처리되어 책임소재에 대한 정부의 안일한 대처가 국민들을 안전의 사각지대로 몰아넣고 있다.
청운소방의 불량소화기 사건이 터지자 소방방재청은 즉각 국민들에게 사과문을 발표하고 특별조사와 함께 불량소화기를 수거 또는 폐기처분하여 업체에서 배상하기로 했지만 배상업체가 부도처리 되어 있는 상황에서 불안감만 증폭되고 있다. 현재까지 청운소방에 수거된 물량은 불량소화기 22만여대 중 절반가량인 10만여대가 회수되었고 이중 1만여대만 리콜되어 있는 상황으로 주유소 또는 주요 유류취급소와 화재로부터 취약대상인 곳만 우선적으로 교환해주었다. 청운소방은 사건발생 후 대표이사는 잠적해 있고 영업상무인 최경묵 상무이사만 남아 밤 12시가 넘도록 직원들과 포장작업을 하며 리콜해주기에 여념이 없다고 한다. 본지와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최경묵 상무는 “불량소화기 보도가 나간 직후 사실상 부도난 것이나 다름이 없다”고 전하면서 “죄인된 입장에서 국민들에게 할 말이 없으며 미력하게나마 책임을 통감하여 불량소화기를 교환해주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통된 제품들 가운데 현재 10만여대를 회수하여 교환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하지만 은행거래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로 교환할 만한 약제를 재고해 놓은 것도 아니어서 언제까지 교환이 가능할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 특히 청운소방의 소화기를 도매한 유통업체들은 한국소방검정공사의 kfi인증을 보고 구매해 1,000원 정도의 이윤을 남기고 팔았는데 유통된 물량을 회수하려다 보니 물류비가 증가할 수밖에 없어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며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일반 소매상에 구매한 소비자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로 청운소방의 소화기를 구매해놓고 제품의 성능을 신뢰할 수 없어 반품을 요구하지만 불량소화기 보도이후 소화기 가격이 폭등하고 있어 유통업체에서도 손쉽게 다른 제품으로 맞교환해주기가 어렵다. 더욱이 청운소방에서 소화기를 회수하여 재충약 해야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즉각적인 반품이 이뤄지지 않아 교환을 신청하고 소화기를 수령하는 동안 화재라도 발생되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처지이다. 반면 관련부처는 사태에 대한 심각성은 간과한 채 대안은 없고 도소매 유통업체에 협조만 하겠다는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어 결국 정부의 도덕성을 믿고 유통 구매한 업체와 소비자들만 이래저래 골탕 먹으며 화재안전의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다. ※ 정정합니다. 현재까지 청운소방에 수거된 물량은 불량소화기 22만여대 중 절반가량인 10만여대가 회수되었고 이중 1만여대만 리콜되어 있는 상황으로 주유소 또는 주요 유류취급소와 화재로부터 취약대상인 곳만 우선적으로 교환해주었다. 위 내용 중 '10만여대가 회수되었고' 를 '10만여대가 교환신청접수 되었고'로 정정합니다. 유통된 제품들 가운데 현재 10만여대를 회수하여 교환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하지만 은행거래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로 교환할 만한 약제를 재고해 놓은 것도 아니어서 언제까지 교환이 가능할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 '10만여대를 회수하여' 를 '10만여대를 교환 신청접수받아' 로 정정합니다. 유통된 제품들 가운데 현재 10만여대를 교환 신청접수받아 교환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하지만 은행거래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로 교환할 만한 약제를 재고해 놓은 것도 아니어서 언제까지 교환이 가능할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불량소화기 리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