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PN 최누리 기자] = 지난달 발생한 고농도 초미세먼지(PM2.5)의 75%가 중국 등 국외에서 유입된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은 지난달 11일부터 15일까지 발생한 미세먼지(PM2.5) 고농도 발생 원인을 분석한 결과 국외 영향이 전국 기준 69~82%로 평균 75% 수준으로 조사됐다고 지난 6일 밝혔다.
이번 고농도 미세먼지는 지난달 11일부터 5일간 ‘나쁨’(36~75㎍/㎥) 수준의 농도가 이어지면서 비상저감조치가 처음 연속으로 발령됐다. 12일에는 올해 첫 일평균 ‘매우나쁨’(75㎍/㎥ 초과) 수준의 고농도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14일에는 서울 등에서 2015년 미세먼지(PM2.5)가 측정된 이후 지역별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전 초미세먼지 최고치는 2015년 10월 22일 전북에서 기록한 128㎍/㎥였다. 하지만 경기 북부에서 14일 131㎍/㎥를 기록하며 이를 넘어섰다.
같은 날 19개 예보권역 중 서울(129㎍/㎥), 인천(107㎍/㎥), 경기 남부(129㎍/㎥), 대전(94㎍/㎥), 세종(111㎍/㎥), 충북(123㎍/㎥) 등에서 역대 최고 수준의 고농도를 기록했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이번 고농도 초미세먼지 현상은 중국 산둥반도와 북부 지역에 위치한 고기압권 영향으로 대기가 정체되면서 미세먼지가 1월 10~11일 1차로 유입됐다”며 “13일 이후 북서풍 기류로 미세먼지가 2차로 추가 유입되는 등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1월 1~3일 수도권 측정소의 질산염 농도가 평상시(4.5㎍/㎥) 대비 3.9배, 황산염(1.8 ㎍/㎥)은 3.3배 증가했다. 13일 이후 2차 유입 시기에는 질산염이 7.6배, 황산염이 11.9배 증가하는 등 13일 이후 오염물질이 더 유입된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동북아시아의 전반적인 대기 정체 속에 축적된 오염물질이 10일 산둥반도 부근 고기압의 영향으로 서풍 기류가 형성돼 국내에 유입됐다”면서 “13일부터 다시 중국 북부 고기압의 영향으로 국외 미세먼지가 추가로 유입ㆍ축적됐다”고 덧붙였다.
대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 또는 액체 미립자인 에어로졸 광학두께(AOD)를 분석한 결과 평상시(1월 11~13일)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미세먼지를 포함한 에어로졸이 많이 분포됐다. 12일과 14~15일에는 전국적으로 고농도 에어로졸이 관측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한국과 중국 양국 모두 기상 악화와 장시간 오염물질 축적으로 고농도가 강했던 사례라고 설명하며 중국 측에 분석결과를 전달하는 등 연구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 오는 20일 일본에서 열리는 한ㆍ중ㆍ일 정책대화에서 별도의 세션을 마련해 미세먼지 예ㆍ경보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실무협의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