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7일 오후 7시 58분 김모(57)씨는 서울 성북구 장위동에서 형과 함께 운영 중이던 족발집 안에서 갑자기 쓰러졌다.
김 씨의 형은 119에 신고했고 강북소방서 현장대응단 2소대 119구급대는 3.3㎞를 5분 안에 신속하게 출동했다. 119구급대는 출동하면서 김씨의 형에게 심폐소생술을 지도했다. 현장 도착 후 환자의 가슴에 심장충격기(AED)로 전기충격을 4회 적용해 꺼져가는 생명을 살려낼 수 있었다.
다음날 오전 6시 46분께 강북구 번동의 한 다세대 주택에서 ‘아버지가 구토 중에 쓰러졌다’는 신고를 받고 현장대응단 구급차 2대와 오토바이 구급대가 현장에 출동했다. 현장에 도착했을 때 쓰러진 아버지 이모(58)씨의 막내딸이 고등학교에서 배운 심폐소생술을 혼신의 힘을 다해 하고 있었다.
이 씨 역시 심장충격기와 심폐소생술을 세 번 시행한 끝에 의식을 회복해 건강하게 일상으로 복귀했다. 한 팀의 119구급대가 야간근무(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께) 동안 2명의 심정지 환자를 구한 건 매우 드문 일이다.
편지를 받은 김지윤 구급대원은 “언론에 밝히기 힘듦에도 불구하고 촬영에 협조하고 편지를 써주신 두 선생님께 감사드린다. 두 분의 경우처럼 심정지는 구급대원이 도착하기 전 발견자의 초기 응급처치(빠른 발견, 신고, 가슴압박)가 매우 중요하다”며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이 지금보다 더 활성화돼 지금과 같은 사례가 많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119뉴스팀 119news@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