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504)’에 따르면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는 단상교류 220 V인 것으로서 공급용량은 1.5전원회로는 단상교류 220V 및 공급용량은 1.5㎸A 이상인 것으로 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전선의 용량은 각 비상콘센트(비상콘센트가 3개 이상인 경우엔 3개)의 공급용량을 합한 용량(4.5㎸A) 이상의 것으로 해야 한다고 돼 있다.
35층 건축물 현장을 방문해 허용전압강하를 만족하는지 확인해봤다. 전기히터를 3개 층에 연결해 최말단 부하에서 디지털 클램프 테스터기로 전압을 측정했다. 비상콘센트 전원은 옥탑 분전반에서 21층부터 35층까지 2회로를 공급한다. 전선 종류는 FR-8이고 전선 굵기는 4㎟다.
전압강하식에 대입해 계산해보자. 1회로 총 부하전류는 20.45A다. 35층 건축물의 최말단 길이는 45m다. 이를 통해 전압강하를 계산하면 8.23V가 나온다.
그런데 디지털 클램프 테스터기로 측정했더니 최말단 부하 전압은 191.5V가 나왔다. 이로써 전압강하는 28.5V가 된다.
전압강하식과 실측에 의한 전압강하율을 비교해보자. 전압강하식은 3.89, 실측은 14.88%이 나온다. 약 3.8배 차이나는 셈이다.
따라서 설계ㆍ감리자분들은 비상콘센트설비의 분기 전압강하계산서를 면밀하게 검토해 전선규격이 적합한지 확인하시길 바란다. 특히 거리에 따른 전압강하는 전선 굵기에 반비례하므로 전압강하를 줄이기 위해선 굵은 전선을 선정해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해야 한다.
문정환 한국소방기술사회 총무이사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