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외상 주요 원인 운수사고, 추락ㆍ미끄러짐소방청-질병청, 지역사회 기반 중증외상 조사 결과 발표
소방청(청장 남화영)과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이하 질병청)은 29일 서울대학교병원 암연구소 삼성암연구동 이건희홀에서 ‘제4차(2023) 지역사회 기반 중증외상 조사 결과보고회’를 열고 지역사회 기반 중증외상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흉부 등 신체 6개 부위의 손상별 중증도를 외상 척도(AIS)로 점수화해 측정한 손상중증도점수가 16점 이상이거나 병원전 심장정지 발생, 병원전 사망에 해당하는 중증외상 환자는 2021년 기준 8052명으로 남자(72.6%)가 여자(27.4%)보다 더 많이 발생했다.
연령별도는 60대가 1665명(20.7%)로 가장 많았다. 이후 50대 1493명(18.5%), 70대 1232명(15.3%), 40대 988명(12.3%), 80대 이상 736명(9.1%) 등의 순이었다.
또 중증외상 환자 중 사망자는 2016년 4922명(60.5%)에서 2021년 4561명(56.6%)으로 줄었다. 중증 장애율은 같은 기간 29.3%에서 26%로 감소한 반면 장애율은 62.8%에서 67.2%로 증가했다.
특히 중증 외상은 주로 운수사고(52.1%)와 추락ㆍ미끄러짐(40.5%)으로 인해 발생했다. 손상 원인 중 운수사고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7년(61%) 이후 줄고 있지만 여전히 중증 외상 1위 원인을 차지했다. 추락ㆍ미끄러짐은 2016년 33.5%에서 2021년 40.5%로 증가세를 보였다.
이에 질병청은 가칭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안전 교육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상반기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추락ㆍ미끄러짐 사고 예방을 위한 동영상을 보급할 계획이다.
이밖에 지역별 중증 외상 이송소요시간은 대전이 25분으로 가장 빨랐고 중증 외상은 도로ㆍ이외 교통지역(49.1%)과 집ㆍ주거시설(22.3%)에서 주로 발생했다. 손상 부위는 주로 두부(43.6%)와 흉부(32.3%), 하지(13.4%) 등의 순이었다.
남화영 청장은 “중증외상환자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 신속히 이송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119구급대와 구급 헬기가 연계되는 유기적인 이송 체계를 더욱 정비해 중증외상환자의 사망률을 낮추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지영미 청장은 “중증 외상은 신속한 구조ㆍ이송, 병원단계 치료ㆍ재활의 유기적인 연결이 중요한 만큼 이와 관련된 정부기관, 지자체 등 관련 부서와 손상 예방을 위한 정책ㆍ제도를 마련하겠다”고 했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