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폭염 대처상황 ※ 폭염 위기경보 ‘심각’ 및 중앙대책본부 1단계(7.31. 19:00) - 인명피해(8.4.): 온열질환 112명(사망 2명*) ※ 질병관리청(온열질환응급실 감시체계) ※ 누계(5.20.~8.4.): (’24년) 1,690명(사망 14명**)/(’23년) 1,646명(사망 20명)/(’18년) 3,095명(사망 38명) * 8.4. 09:44경 서울 중랑구, 보호자가 방문하여 집안에서 쓰러진 것을 발견(71세, 여)8.4. 14:00경 전남 고흥군, 요양보호사가 방문하여 밭에서 일하다 쓰러진 것을 발견(78세 여) ** 8.2. 12:50경 경남 밀양시, 밭에서 일하다 쓰러짐, 병원 치료중 8.4. 17:35사망(65세, 남, 베트남 국적) - 재산피해(누계, 6.11.~8.5.): 가축폐사 303천마리(돼지 26천, 가금 277천), 양식 13천마리 ※ 가축재해보험을 통해 피해 신고 접수된 내역이며 이후 손해평가를 통해 변동 가능 - 조치사항: (중대본) 폭염 관련 현장상황관리관 파견*(17개 시도), 폭염 경보에 따른 근로자 보호 강화 철저 요청(산업안전보건공단, 8.4.), 전국 수상안전 인명사고 발생에 따른 안전수칙 안내(재난방송, 4회), 폭염 대비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 3회), 폭염 경보 변경 발표 지역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문자, 재난방송 등), 폭염 예방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 등 * 전국 폭염특보 발효 중으로 당분간 폭염이 예상됨에 따라 취약계층 보호대책 시행 확인, 무더위쉼터 및 폭염 저감 시설 운영 실태 현장 점검(자연재난실 실장 및 국장, 과장급) (복지부) 생활지원사(3만명)을 통한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 안전확인(40.1만명) (해수부) 고수온 경보 및 주의보 확대 발표(8.5. 14:00), 양식장 현장점검(98개소) 등 (농진청) 농업인단체(28개) 간담회를 통한 피해예방 대응 협조 요청(청장, 8.6.), 농업인근로자 현장(금산) 방문(청장, 8.5.) ※ 안전문자 발송(148천건), 예찰(352회), 교육(149회) 등 (지자체) 비상근무(4,264명), 취약계층 보호 활동, 무더위쉼터 운영·점검 및 홍보 활동 등 ※ (수범사례) ①(대전) 행정복지센터 얼음물(일 2만개) 공급 및 배부(환경미화원, 야외근로자 등)②(전남) 야외 무더위쉼터(3개 공원) 내 옹달샘(생수 냉장고) 설치 및 생수 공급③(경기) 3대 취약분야(옥외근로자, 농업인, 취약계층 780명) 냉방물품(모자외 6종) 배부
▲ 일일 전력수급 전망(8.6.): 안정적 - (전력수요) 피크시간(16~17시)에 최대 94.6GW 예상 - (전력공급) 공급능력 103.6GW→공급예비력 9.0GW(9.5%) / 운영예비력* 9.0GW(9.5%) * 30분 이내 확보 가능한 발전 용량(4.5GW 미만일 경우 ‘관심’ 단계 발령)
▲ 8.5.호우‧안개‧너울 등 대처상황 ※ 호우 중대본 1단계(8.5. 15:00~8.6. 00:00) - 피해현황(잠정): (인명피해) 없음 (사유시설) 1건*(경기) * 둔치주차장 차량 11대 침수 - 통제상황(05시): (국립공원) 3개 공원 61개 탐방로(속리 26, 내장 21, 치악 14) - 조치사항: (행안부) 중대본부장 지시사항 전파(공문, 8.5.), 소낙성 강우 대비 안전관리 철저 지시(공문, 8.5.), 호우 특보지역 부단체장 등 상황관리 요청 및 재난위험문자 알림(8.5.), 호우 대비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 호우‧안개‧해무‧풍랑‧너울‧조고 등에 따른 재난 예방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 화재·사업장사고·교통사고·수난사고 등 재난·사고 예방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 등 < 중앙대책본부장 지시사항 > - 휴가철 산간 계곡, 하천변 야영장 등 지속적 예찰 및 위험 우려시 사전 통제와 대피 실시할 것 - 지하차도, 하상도로, 둔치주차장 등 침수 우려 시설 선제적 통제, 통제 및 우회정보 적극 안내 할 것 - 읍면동 공무원, 이‧통장 중심 인적 드문 곳 예찰 강화, 주민 위험 상황전파, 대피 지원 - 재난문자‧방송, 마을방송 등 활용 강수 집중 시간 외출 자제, 위험지역 접근 금지 등 안내 할 것 (산림청) 산사태 예측정보 생성에 따른 안전관리 철저 요청, 산사태 예보 발령 등 (지자체) 비상근무 및 인명피해 우려지역 예찰 활동, 재난문자·SMS 등 활용 홍보
▲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8.5.): 양돈 및 야생 멧돼지 발생 없음 ※ 확진(누계): 양돈44건(경기18, 강원17, 인천5, 경북 4) / 야생 멧돼지4,144건(강원1,920, 경북1,012, 경기674, 충북499, 부산 25, 대구 14)
▲ 주요 사고 - (선박사고) 07:41경/경북 울진군 매화면/오산항 내에서 어선(제1덕신호, 4.95톤, 3명)과 레저보트(킹스톤호, 1.68톤, 4명)가 충돌*/사망 1명, 중상 2명, 경상 1명 * 해양오염 없음/스쿠버다이빙을 마치고 귀항하던 킹스톤호와 조업차 출항하던 제1덕신호가 충돌 - (상수도사고) 8.4. 13:00경/경북 청도군/연일 지속된 폭염(경보)으로 수요량이 물 생산량(운문정수장 2.1만톤)을 초과, 각남면 등 5개 읍‧면 단수(1,500세대) ※ 재난문자 송출(3회)/청도군은 생수 및 급수차(4대) 지원 중/요일 제한급수 시행 등 추진 예정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12회(산악구조 2, 응급환자 3, 훈련비행 7) / 5명(구조 2, 구급 3) ❖구급상황관리: 4,371회(의료지도 467, 대국민상담.지도 3,736, 이송병원선정 149, 헬기 5, 재외국민 14) ❖생활안전조치: 4,520회(동물처리 181, 비화재보확인 388, 잠금장치개방 51, 안전조치 75, 기타 3,825)
◇ 화재진압 ▲ (아파트) 서울 마포구『○○아파트』 - 07:44~17:33, 주차된 승용차에서 원인 미상 화재, 뒷좌석 시트 일부 소실 등
▲ (아파트) 서울 도봉구『○○아파트』 - 09:21~10:34, 선풍기에서 전기적 요인 추정 화재, 경상 1명, 내부 10㎡ 및 가재도구 등 소실
▲ (주 택) 부산 사상구『단독주택』 - 10:50~11:04, 주택에서 원인 미상 화재, 사망 1명, 내부 50㎡ 및 가재도구 등 소실
▲ (기 타) 충북 제천시『간이화장실』 - 13:40~13:58, 콘센트에서 전기적 요인 추정 화재, 경상 2명, 간이화장실 및 농기구 등 소실
▲ (아파트) 경북 경주시『○○아파트』 - 15:29~16:07, 실외기 전선에서 발화 추정 화재, 경상 1명, 내부 10㎡ 및 가재도구 등 소실
▲ (주 택) 경기 의정부시『다세대주택』 - 17:44~18:18, 주택에서 원인 미상 화재, 경상 1명, 내부 53㎡ 및 가재도구 등 소실
◇ 구조/구급 ▲ (선 박) 경북 울진군『○○항』 - 07:39~09:53, 레저보트가 정박 중인 어선 충돌, 사상 3명(사망 1, 중상 2)
▲ (교 통) 서울 용산구『○○아파트 단지 내』 - 11:02~11:33, 차량이 단지내 도로에서 인도로 돌진, 사상 2명(사망 1, 경상 1)
▲ (구 급) 광주 동구『○○학교 주차장』 - 12:04~12:22, 낙뢰에 의한 감전 추정, 중상 1명
8월 6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