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대설·한파·건조·강풍·풍랑 등 대처상황 ※ 행안부 초기대응반 운영: 대설(12.21. 03:00~17:00)/한파(12.21. 10:00~) - 피해현황(12.20.): (한랭질환자) 3명 ※ 질병관리청(한랭질환응급실 감시체계) ※ 한랭질환 누계(‘24.12.1.~’24.12.20.): 68명(사망 2명 포함)/(전년 동기) 92명(사망 3명 포함) 통제상황(05시): (여객선) 47개 항로 58척(인천~백령, 목포~서거차, 포항~도동 등)(국립공원) 5개 공원 82구간(속리 26, 설악 18, 덕유 17, 치악 14, 한라 7 등) 조치사항: (행안부) 대설 유형별 인명피해 예방대책 적극 추진 지시(NDMS), 강설 대비 제설대책 및 취약시설 예방조치 등 안전관리 철저 요청(공문, 12.19.), 한파 위기경보 단계 조정(관심→주의) 대비 안전관리 철저(공문, 12.21.), 예비특보지역 부단체장 등에 안전관리 요청(12.20.~21., 유선), 12.20.~22일 한파대비 안전관리 철저(공문, 12.20.), 한파주의보 발표에 따른 재난예방활동 철저(NDMS), 한파·대설·강풍·풍랑 대비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
▲ 행정안전부장관 직무대행, 20~21일 대설 대처 상황 긴급 점검(12.21.) - 20일 늦은 밤부터 6개 시도 37개 시군구에 대설특보가 발효되는 등 강설이 확대됨에 따라 이번 강설로 인한 피해현황과 도로제설 상황 등을 점검하고 국민 불편 최소화와 피해예방 대책 등 당부 - 풍랑(예비) 특보 발표에 따른 주말 해양선박 안전관리 철저 요청(공문, 12.20.),다중이용시설·아파트 화재, 건조특보 대비 산불 예방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 (국토부·도로공사) 제설제 살포 및 제설작업 실시 등 (농식품부) 한파관련 농업인 행동요령 안전문자 발송(12.21., 99,000건) (보건복지부) 독거노인 및 노숙인 등 취약계층 안전상황 모니터링 (지자체) 대설 상황근무 및 한파 대비 초기 대응반 가동, 취약계층 시설 점검 등
▲ 가축전염병 대처상황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럼피스킨(LSD) 발생 없음(12.21.) - <조류인플루엔자(AI)> ※ 위기경보 ‘심각’(’24.10.9.~) 발생현황(12.21.): 가금 및 야생조류 없음 ※ 확진(누계): 가금 13건(전북 3, 전남 2, 인천 1, 세종 1, 강원 1, 충북 1, 충남 2, 경북 1, 경기 1), 야생조류 17건(경기 5, 전북 3, 제주 4, 충북 2 등) 조치사항: (농식품부·지자체 등) 경기 김포농장 살처분(12.20.~), 일시이동중지명령(12.20. 15시~12.21. 15시/경기·인천 닭관련 농장) 등
▲ (의사환축 발생) 경기 화성 팔탄면 농장(토종닭 120수, 기러기 30수)에서 H5형 항원 검출(12.21.) → 고병원성 검사 진행 중(12.22. 18시경 확인 예상) - 해당 농장 출입통제 및 살처분, 경기도 자체 일시이동중지명령(12.21. 20시~22. 20시) ※ 7개 시군(화성·안산·수원·오산·안성·용인·평택) 닭 사육농장 관련
▲ 주요 사고 - (화재) ① 12.21. 11:52경/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국회의사당 소통관(4/1층, 24,753㎡) 1층 공조실에서 화재(완진 13:00)/공기조화기 1점 일부 소실 등 ※ 인명피해 없음, 단순 연기흡입 6명, 자력 대피 480명 ② 12.21. 14:23경/인천 연수구 연수동/아파트(15/1층, 62,656㎡) 4층 전동 의자 전원선에서 전기적 요인 화재(완진 15:06)/발화 세대 내부 소실 ※ 인명피해 없음, 인명구조 2명 / 일시대피자 1세대 한파 쉼터 제공 안내 (유류유출) 12.21. 07:20경/충남 공주시 유구읍/당진~대전 고속도로(대전방향) 유구나들목 부근에서 화물차(선박용 벙커A유 적재) 사고 후 벙커A유가 우수관로를 통해 유구천으로 유입(방제작업 중) * 농수로 방제둑 설치, 하천 유입부에 흡착포로 오염수 제거 작업, 벙커A유 회수 작업 실시 등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지역 응급 의료체계 현장 점검(12.21.) - 전북 119구급상황관리센터와 전주 예수병원을 방문해 응급 이송 체계 및 지역 응급 의료체계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차질없이 가동되도록 지속적인 노력 당부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 1회(훈련비행1) ❖구급상황관리 : 4,360회(의료지도 402, 대국민상담.지도 3,872, 이송병원선정 77, 헬기 0, 재외국민 9) ❖생활안전조치 : 392회(동물처리 85, 비화재보확인 175, 잠금장치개방 45, 안전조치 42, 기타 45)
◇ 화재진압 활동 ▲ (공공기관) 서울 영등포구『○○소통관』 - 11:52~13:00, 식당 내 공조실에서 원인 미상 화재, 공기조화기 일부 소실 및 수손피해
▲ (주 택) 경기 양평군 단월면『○○주택』 - 13:45~17:23, 주방에서 원인 미상 화재, 경상 1명, 주택 전소 및 가재도구 등 소실
▲ (아파트) 인천 연수구『○○아파트』 - 14:23~15:06, 거실 전동 리클라이너 전원선에서 전기적 요인 화재 추정, 내부 20㎡ 소실 및 내‧외벽 50㎡ 그을음, 집기류 등 소실
▲ (고시원) 서울 영등포구『○○고시원』 - 20:39~20:57, 텔레비전 후면에서 원인 미상 화재, 내부 1㎡ 그을음 및 텔레비전 1점 소실 등
▲ (주 택) 경기 부천시『○○주택』 - 00:59~02:39, 안방에서 제사 의식을 위해 켜둔 촛대가 넘어지며 인근 가연물에 착화‧발화 추정, 사망 1명, 내부 20㎡ 소실 및 50㎡ 그을음, 가재도구 등 소실
12월 22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