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1월 4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25/01/04 [09:01]

1월 4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25/01/04 [09:01]

■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대처상황     ※ 위기경보 단계 ‘심각’ 발령 및 중대본 가동(‘24.12.29.)

- 사고개요: ‘24.12.29. 09:03경/전남 무안군 망운면/항공기(방콕→무안)가착륙 중 사고(원인 조사 중)    ※ 탑승자 181명(승객 175, 승무원 6/한국 179, 태국 2)

- 피해현황: 사망 179명(남성 84, 여성 95), 경상 2명(승무원)

- 조치사항: (중대본) 대통령 권한대행 긴급 지시사항 전파(’24.12.29), 중앙대책본부 가동(‘24.12.29.~) 및 중앙대책본부 회의 개최(8회/대통령 권한대행 주재 8차*(1.3.)), 대통령 권한대행 무안 분향소 조문 및 유가족 대표 면담(1.2.) 등

     * 현장 유가족을 위한 재난구호사업비 지원 및 통신서비스 지원 등 지속 조치하고, 유가족의 불편함을 세심히 살피고 추가적인 정부 지원 방안 검토 등 당부

    (행안부) 특별재난지역 선포(’24.12.29., 전남 무안군) 및 국가애도기간 지정(‘24.12.29~1.4.), 행안부장관 직무대행 지시사항 전파 및 사고 현장 점검, 전남도·무안군 항공기 사고 관련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 현장상황관리관 파견(’24.12.29~),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사고 현장 점검(1.1.), 재난안전관리 특별교부세(15억) 교부(1.2.)

    (국토부)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장관) 및 지역사고수습본부(본부장: 부산지방항공청장) 운영(‘24.12.29.), 사고조사 착수(’24.12.29., 항공사고조사위원회 등), 통합지원센터 설치·운영*(‘24.12.29.~) 등

     ※ 사고기와 동일한 기종에 대해 전수점검 및 6개사의 항공기 운영체계 특별안전점검(‘24.12.30.~’25.1.3.)

    (소방청) 장례식장 이송 지원 등  (경찰청) 현장 안전지원 등

    (복지부) 재난의료지원팀(DMAT) 및 신속대응반 지원, 장례 및 심리지원 강화 등

    (지자체) 전남도 지역대책본부 가동, 무안군 지역대책본부 및 현장통합지원본부 가동(‘24.12.29.), 보건소 신속대응반 현장 지원, 가족지원 전담 공무원 지정 운영, 임시 영안소(무안공항) 및 분향소 설치·운영, 사고수습 지원 등

 

 경남 거창군 지진 대처상황        ※ 위기경보 ‘경계’·중대본 1단계 가동(1.3. 15:40~)

- 발생개요: 1.3. 15:28경/경남 거창군 남쪽 14km 지역(발생깊이 8㎞)/규모 2.9

     ※ (최대진도) Ⅴ(경남), Ⅱ(경북, 부산, 전남, 전북)

- 피해현황(잠정, 05시): (인명피해) 없음 (시설피해) 없음

     ※ 유감신고: 9건(지진발생 후 10분/거창 4, 합천 2, 함양 2, 산청 1)

- 조치사항: (중대본) 지진발생에 따른 상황관리 철저지시(NDMS, 15:33), 긴급재난문자 발송(15:35), 중대본부장 지시사항* 전파(15:37), 지진 위기경보 “경계” 발령 및 중대본 1단계 가동(15:40), 부처별 피해상황 파악 지시, 중대본 회의(15:45,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 현장상황관리관 파견(15:46), 위험도평가단 가동 지시(15:51), 전문가 자문회의(21:00, 자연재난실장 주재) (국토·산업부 등) 원전, 가스, 철도, 공항 등 소관 시설 피해 현황 파악(피해 없음)

     * 관계기관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 유지하면서, 피해상황 신속 파악 및 필요한 조치 취할 것 

 

 한파·건조·도로결빙 등 대처상황                            ※ 통제없음

- 피해현황(1.2.): (한랭질환) 1명          ※ 질병관리청(한랭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 한랭질환 누계(‘24.12.1.~’25.1.2.): 120명(사망 4명 포함)/(전년 동기) 167명(사망 3명 포함)

- 조치사항: (행안부) 한파 특보 발표에 따른 안전관리 철저(공문, 1.2.), 대설 유형별 인명피해 예방대책 적극 추진 지시*(NDMS), 한파·건조·도로결빙 등 예방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NDMS), 한파·결빙 대비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

     * 대설로 인명피해 우려되는 유형(붕괴, 전도, 미끄러짐, 정체, 고립)에 대해 관계기관별 대책 및 중점관리 추진

    - 교통·선박·사업장등 최근 사고사례 전파 및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다중이용시설 화재, 건조 특보 대비 산불 및 화재 예방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대설·한파(1.5~9일) 대비 사전대책 회의 개최(1.3.)

- 기상 상황 및 전망 공유, 기관별 대설·한파 대비 중점 관리사항 및 대처 계획 점검 등

  ※ (참석) 행안·농식품부 등 12개 중앙부처, 17개 시·도, 한국도로공사, 한국전력공사, 국립공원공단 등

 

 가축전염병 대처상황

<아프리카돼지열병(ASF)>                      ※ 위기경보 ‘심각’(’24.12.16.~)

 발생현황(1.3.): (양돈) 없음 (야생 멧돼지) 1건(경북 안동)

     ※ 확진(누계): 양돈49건(경기20, 강원19 등), 야생 멧돼지4,209+1건(강원1,925, 경북1,038+1, 경기676, 충북527, 부산 25 등)

<조류인플루엔자(AI)>                          ※ 위기경보 ‘심각’(’24.10.9.~)

- 발생현황(1.3.): (가금) 없음 (야생조류) 1건(제주 서귀포)

    ※ 확진(누계): 가금  19건(전북 5, 전남 2, 인천 1, 경기 3, 충남 2 등), 야생조류 25+1건(경기 5, 전북 4, 제주 7+1, 충남 3, 충북 2 등)

 

 의사환축(1.3.): 경기 여주시 홍천면 산란계 농장(104,000수) 예찰 검사에서 항원 확인 → H형 검사 진행 중(1.4. 오전 결과 확인) → (H형 확진시) 고병원성 여부 검사(1~3일 소요)

 

 주요 사고

- (화재) ① 1.3. 13:58경/부산 영도구 청학동/공장(3/0층, 10,169㎡) C동 3층 사무실(추정)에서 원인미상의 화재(완진 15:25)/공장 일부 소실 등

      ※ 인명피해 없음(자력대피 3명), 소방 대응 1단계(14:05~14:51)

    ② 1.3. 14:10경/강원 고성군 거진읍/어촌계 창고에서 원인미상의 화재(완진 17:57)/창고 6개동 전소 등

      ※ 인명피해 없음(계류선박 8척 대피), 소방 대응 1단계(14:57~17:02), 재난문자 송출(14:42)

    ③ 1.3. 16:26경/경기 파주시 광탄면/철제물 제작공장(3동, 1/0층, 594㎡)에서 원인미상의 화재(완진 18:22)/공장 3개동 전소 및 임야 약 200평 소실 등

      ※ 인명피해 없음, 소방 대응 1단계(16:49~17:35)

    ④ 1.3. 16:37경/경기 성남시 야탑동/복합건축물*(8/5층, 25,650㎡) 1층 식당 주방에서 화재(완진 18:01)/경상 35명(연기흡입), 1층 식당 일부 소실 등

      * 지하 1~5층(주차장, 운동시설, 음식점), 지상 1~8층(판매, 근생, 의원, 소매점 등)

      ※ 구조 240명, 자력대피 70명, 소방 대응 1단계(16:41)→2단계(16:43)→1단계(17:18)→해제(17:35)

     

<주요 조치 사항>

- (행안부) 장관 직무대행 지시시항 전파*, 지자체(경기, 성남)에 화재 관련 상황전파 및 대응 철저 지시(NDMS, 유선), 대응부서(국토산업재난대응과) 상황전파, 긴급단체문자 발송(4회) 등

   * 경기도, 소방청 등 관계기관은 가용한 모든 장비와 인력 동원하여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에 총력 등

- (소방청) 화재진압, 국가위기관리센터·국정상황실·국무조정실 상황 전파 등

- (경찰청) 소방차 진입로 확보 및 현장주변 통제 조치

- (성남시) 재난문자 송출(1회), 현장 상황관리관 파견, 보건소 신속대응반 출동 등

    ⑤ 1.3. 18:52경/경기 용인시 모현읍/가구보관 창고(1/0층, 298㎡)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1.4. 01:44)/발화창고 및 인근 공장 1개동 전소 등

      ※ 인명피해 없음(자력대피 5명), 소방 대응 1단계(19:07~20:38), 재난문자 송출(19:46)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구 분

화 재

구 조

구 급

생활안전

건 수

사 망

부 상

피해액

(백만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일 계

155

2

36

1,716

792

184

5,020

5,061

391

22 

❖헬기출동: 9회(산악구조 2, 응급환자 1, 화재진화 2, 훈련비행 4) / 3명(구조 2, 구급 1)

❖구급상황관리: 3,839회(의료지도 274, 대국민상담.지도 3,439, 이송병원선정 115, 헬기 3, 재외국민 8) 

❖생활안전조치: 391회(동물처리 91, 비화재보확인 180, 잠금장치개방 36, 안전조치 33, 기타 51) 

 

◇ 화재진압

 (공  장) 부산 영도구『○○공장』

- 13:58~15:25, 공장 내 원인 미상 화재, 공장 약 45㎡(그을음 180㎡) 및 집기비품 소실

 

 (창  고) 강원 고성군『○○창고』

- 14:10~17:57, 원인 미상 화재, 창고 6개동과 화장실 1개동 전소(763㎡) 및 집기류 소실

 

 (공  장) 경기 파주시『○○공장』

- 16:26~18:22, 원인 미상 화재, 공장 3개동 전소(594㎡), 공장 2개동 부분소(198㎡) 등

 

  (복합건축물) 경기 성남시『○○건물』

- 16:37~18:01, 1층에서 원인 미상 화재, 경상 35명, 주방 일부‧1층 필로티 반자 내부‧건물 외벽 및 차량 1대 소실, 상층부 상가 그을음 등

 

 (창  고) 경기 용인시『○○창고』

- 18:52~01:44, 창고 내 원인 미상 화재, 창고 1개동 전소(298㎡), 인근 공장 1개동 전소(493㎡), 인근 공장 외벽 그을음 피해(50㎡) 및 소파 400점 등 소실

 

◇ 구조/구급

 (안전사고) 인천 계양구『○○역』

- 07:53~08:24, 사회복무요원이 비상 도어를 열고 선로에 무단 진입, 중상 1명

 

 (산악사고) 강원 인제군『○○산』

- 13:08~17:30, 헬기 구조 중 구조대원 1명 약 25m 상공에서 추락, 중상 1명

 

1월 4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