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재난 안전 관리상황
▲ 구제역 대처상황 * 최초(’14.12.3, 충북 진천) / ‘경계’ 발령(’14.12.18) - 발생(누계) : 6개 시·도(27개 시·군), 119개 농장(돼지 115, 소 4) * 변동 없음 - 살처분(3.2/누계) : 3개 농장 1,329두/129개 농장 112,699두 - 주요 조치사항 : 이동통제초소(111개소), 거점소독시설(192개소) 운영 ※ 소방력 지원(3.2/누계) : 95명 54대/6,044명 3,534대, 급수지원 233톤/14,724톤 ▲ AI 대처상황 * 최초(’14.9.24, 전남 영암) / ‘경계’ 발령(’14.9.25) - 발생(누계) : 9개 시·도(27개 시·군·구), 103개 농장(농가 90, 전통시장 13) * 1개 농장↑ - 3.2(월) 육용오리농장 1개소(전남 구례) 양성 판정 - 살처분(3.2/누계) : 4개 농장52천수 /132개 농장 3,385천수 - 주요 조치사항 : 이동통제초소(121개소), 거점소독시설(123개소) 운영 ※ 소방력 지원(3.2/누계) : 15명 8대/1,626명 895대, 급수지원 21톤/ 5,085톤 ▲ (포탄 안전조치) 인천시 영종대교 하단(4~5번 교각 사이 갯벌) - 3.2. 11:15, 낚시객이 포탄 추정 물체(1발, 10cm×30cm) 발견 신고 - 19:45~20:00 간조시 해경·군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포탄 수거 완료 ▲ (안전조치) 경기 성남시 분당구「신분당선 정자역」전동차 통제 - 3.2. 12:29, 타는 냄새와 연기로 양방향 통제(12:48), 점검 후 운행 재개(13:40) ※ 판교~광교구간 공사장에서 환기구 용접작업 중 화재발생, 전기배선 일부소실 ■ 재난안전 예방 활동 및 훈련 등 ▲ 국민안전처, ’1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추진계획 보고회(3.3) - 중앙부처·지자체 담당자 200여명 참석, 중앙부처·시도별 훈련 기본계획(긴급구조 역량강화, 중수본·지대본 초기대응 역량 강화 등) 발표 및 토론 ▲ 국민안전처, 지자체 상황 보고·전파 신속성 확보를 위한 회의 개최(3.3) - 2.22일부터 실시한 불시 상황 보고·전파 훈련 결과, 지자체 지연보고 등 문제점 발생, 도출된 문제점 개선 및 지침 시달(17개 시·도 영상회의) ▲ 국민안전처, ’15년도 민방위 경보업무 담당자 연찬회 개최(3.3) - 지자체 민방위경보 담당자 등 70여명 참석, 민방위 경보 주요 업무 설명 및 가청률 조사 실시 등 * 가청률 조사(3~6월) : 도상 및 실제측정 병행 ▲ 국민안전처, 시·도 재난심리지원업무 담당과장 회의 개최(3.3) - 시·도 재난심리지원업무 담당과장 등 20여명 참석, ’15년도 재난심리 개편방안·주요사업계획 논의 및 ’14년 주요심리지원 사례 공유 등 ▲ 국회, 국민안전혁신특위 개최(3.3) - 국회 특위위원 18명, 국민안전처 차관, 교육부·미래부장관 등 참석 - 학생(교육부)·사이버(미래부) 안전 및 소방분야(노후 소방장비 등) 업무보고 ▲ 산림청, 정월대보름(3.5) 산불방지 특별대책 추진(3.4~6) - 특별대책기간 비상근무체계 전환, 정월대보름 행사장(54개소) 및 무속행위 등에 대한 안전대책 수립,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방적 대응 등 ▲ 기상청, 기상해일 감시망 확대(3.2) - 봄철 돌발적인 너울 발생 시 연안 피해를 유발하는 기상해일에 대한 감시망을 기존 3개소에서 89곳으로 확대, 피해예상 지역까지 예측 가능 ▲ 국토교통부, 가뭄 대비 선제적 용수비축방안 시행(3월~) - 가뭄 발생 시 임기응변식 비축으로 신속한 대응 곤란, 댐 관련 빅데이터를 IT기술로 분석, 용수공급조정기준 마련(2년간 시범운영) ▲ 보건복지부, 신학기 학교 내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3.2) - 신학기에 많이 발생하는 감기․인플루엔자․수두․유행성이하선염 등에 대한 예방을 위해 철저한 손씻기와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 등 당부 ■소방안전 활동 상황 ◇소방활동 총괄
◇화재진압 활동 ▲ (공장화재) 경북 경주시 강동면『철주물제품생산공장(1층)』 - 11:39~14:20, 용접작업 중 불꽃이 합성수지에 착화, 250㎡ 및 환풍휀모터 등 소실(4,300만원) ▲ (사찰화재) 경기 양평군 양서면 신원리『부용사(산신각)』 - 13:47~14:17, 촛불 부주의 발화 추정, 불상 등 24㎡ 소실(6백만원), 문화재 무관 ▲ (공장화재) 부산 사상구 감전동『섬유직물공장(3/1) 3층』 - 15:32~15:44, 보일러실 전기온수기에서 발화, 집기류 등 6㎡ 소실(80만원) ▲ (오피스텔화재) 경기 여주시 점봉동『여주오피스텔 (8/1) 502호』 - 01:20~01:49, 번개탄을 이용 자살 시도 중 발화, 부상 1명(경상), 집기류 등 21㎡ 그을림(170만원) * 인명구조 1명(502호 거주자), 오피스텔 거주자 대피유도 8명, 전체 거주 54세대 56명 * 건물용도 : 지층(주차장 등), 1층(음식점), 2~8층(업무시설), 연면적 3,035㎡ ◇구조・구급 활동 ▲ (교통사고) 제주 제주시 오라2동『한라도서관 앞 도로상』 - 13:15, 시내버스와 화물차 충돌, 부상 4명(중상2, 경상2), 응급처치 병원이송 ▲ (교통사고) 전남 영암군 신북면 금수리『로즈모텔 앞 도로상』 - 13:43, 싼타페가 체어맨과 1톤 포토 추돌, 부상 6명(경상), 응급처치 병원이송 ▲ (환자이송) 인천 옹진군 대청면『소청도』 - 21:30, 노환 및 심장질환(남/80세), 중앙119구조본부 3호 헬기(수도권), 응급처치 및 병원이송 * 인천헬기 AW-139(정비 중), BELL230(야간 및 원거리 해상비행 불가) ▲ (교통사고) 제주 서귀포시 남원읍『더클래식골프장 앞 도로상』 - 22:02, 시외버스와 승용차 충돌, 부상 2명(중상1, 경상1), 응급처치 병원이송 ■해양경비 안전 활동 상황 ◇해경활동 총괄
◇외국어선 단속 ▲ (나포) 목포, 중국어선 1척 나포 - 17:23, 흑산 가거도 남서 26해리(48km) 1509함, 쌍끌이(125톤) 1척 제한조건위반 나포 * 목포, 제주, 중국어선 5척 검문검색(1509함 2척, 3002함 3척) ◇해양사고 ▲ (충돌사고) 서귀포, 성산포항 인근 어선·레저보트 충돌 - 10:40, 어선(3.3톤, 1명)이 레저보트(2.8톤, 2명) 충돌, 성산포항 예인(S63정 안전관리) * 피해사항: 레저보트 선수 파손 및 전복, 부상 2명(찰과상1, 타박상 1), 해양오염 없음 ▲ (침수사고) 인천, 작약도 인근 바지선 침수 - 12:48, 장기계류 바지선(47톤, 승선無) 2/3침수, 해상크레인 인양예정(금일 오전) * 동원세력: 6척(해경4, 공단2), 오염군(350m×15cm, 엷은 유막) 방산조치 ▲ (화재사고) 창원, 봉암동 해안가 인근 바지선 화재발생 - 23:35, 마산센터 순찰중 바지선(3,000톤, 1명)화재 발견, P63정ㆍ소방정 화재진압 * 피해사항: 외부 발전기 및 배전반, 선실 소훼(피해액 미상), 인명 및 해양오염 없음 ▲ (응급환자) 목포, 완도 도서민 응급환자 이송 - 09:55, 진도군 맹골도 주민(여, 85세), 고열ㆍ어지럼증, 헬기(B507) 이송 - 19:12, 신안군 암태도 주민(63세), 왼손(중․환지) 인대파열 및 출혈, P35정 이송 - 3. 01:15, 완도군 노화도 주민(70세), 심근경색, P57정 이송 ◇기타사항 ▲ (감시·경비) 동해, 독도 근해 일본 순시선 출현·감시 - 04:50∼11:30, 독도 남동 28해리(52km), PL-71(이와미,1250톤) 출현(3007함 감시) * 15년도 출현횟수 : 17회〔전년동기 대비 2회 증가〕/ 14년 총 101회 출현 3월 3일 06:00 기준. 자료 :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