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재난 안전 관리상황
▲ 제11호 태풍 ‘낭카’ 대처상황(7.16) *피해상황(잠정) : 없음
- 전망 : (17일 15시) 독도 동남동쪽 약 260km 부근 해상, 매시 15km로 북진, (18일 21시) 독도 동북동쪽 약 560km 부근 해상, 열대저압부로 약화 예상
- 통제상황 : 항공기 국제선 3편 결항(인천→일본), 여객선 8개 항로 9척(울릉도↔ 묵호, 포항 등)
- 주요 조치사항(7.16) *비상1단계 근무(7.14. 16:00~)
- (국민안전처)장관, 태풍대비 피해우려지역 현장점검 및 피해예방 철저 지시
* 해안가 취약지역(방파제 등) 출입제한 및 비닐하우스․광고물 등 보강조치
- (유관기관․지자체) 비상근무 325명(6개 시․도 238, 울릉군 33, 농어촌공사 54), 피서지․공사장․재해취약지구 등 현장점검(3,299개소) 및 안전조치(84건), 너울성 파도 대비 해안가 사전점검(829개소), 선박 대피(24,264척)
- 향후계획 : 태풍 진행상황 지속 관리, 직‧간접 영향 지역 총력대응
▲ (감염병) 메르스 대처상황 * 최초 발생 ’15.5.20(‘주의’단계 발령)
- 확진환자 : 총 186명(사망 36명, 퇴원 134명 포함) * 7.16 기준
※ 치료 중인 환자 : 16명(안정적 12, 불안정 4)
- 격리자 : 258명(자택 232, 기관 26) * 해제자 16,432명
- 대책지원본부 조치사항(7.16)
- 지자체별 1:1 전담 관리제 운영(238명), 자원봉사활동43명(누계 42,648명),119구급대고열환자이송 105명(누계 9,274명),해상검역(해경) 6회(누계 1,940회)
▲ (선박화재) 라이베리아 국적 컨테이너선(24,724톤, 23명) 화재(7.10) 대처상황
- 제주 차귀도 서방 35해리, 태풍(낭카) 피항차 안전해역 도착(7.17. 01:45경), 1502함․예인선(1척) 안전관리 * 선박화재 전문가(13명), 컨테이너 온도 상승여부 감시 중
- 태풍 소멸 후 해상기상 감안, 부산으로 이동 예정
■ 재난안전 예방활동 및 훈련
▲ 국민안전처, 중앙구급교육협의회 개최(7.16)
- 의대교수, 응급의료전문의 등 24명 참석/위원 위촉장 수여, 119구급대원 전문성 강화를 위한 추진전략과 구급교육제도 개선방향 논의
▲ 국민안전처, 싱크홀 발생원인 및 전조현상 실증실험 실시(7.16)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난 10년간 36개 싱크홀 발생, 상하수도 관거 누수 51.5%, 지하공간 개발 27.3%, 자연발생 추정 21.2% 순
* 전조현상은 보도블럭이 울퉁불통해지거나 깨짐 현상 직후 도로가 물이 젖어 있는 경우 등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 소방활동 총괄
구 분
|
화 재
|
구 조
|
구 급
|
건수
|
사망
|
부상
|
피해액
(백만원)
|
건수
|
인원
|
건수
|
인원
|
일 계
|
89
|
0
|
2
|
324
|
1,253
|
186
|
3,843
|
3,859
|
누 계
|
26,834
|
156
|
1,071
|
176,364
|
170,291
|
47,898
|
869,125
|
890,973
|
❖ 가뭄지원: 4개시‧도 10시‧군 56회 382.5톤 , 소방력 31명 22대 ➡ 식수(8톤), 생활(43톤), 농작물등(331.5톤)
❖ 생활안전: 1,167건 / 벌집제거 490, 위해동물포획 252, 갇힘사고 141, 전기‧가스안전 32, 기타 252
◇ 화재진압 활동
▲ (창 고) 경기 여주시 능서면 양기리『저온창고(1/0)』
- 12:33~13:13, 창고 옆 비닐하우스에서 용접작업 중 불티가 보온덮개에 착화 추정
- 인접창고 연소 확대 저지, 3동 797㎡ 중, 1동 490㎡ 소실(180백만원)
▲ (차 량) 창원 의창구 동정동『창원방향 소계육교 인근』
- 15:12~15:25, 포터(1.5t) 적재함에서 발화, 경상 1명(남/43세), 집기류 소실(70만원)
▲ (주 점) 충남 아산시 온천동『00노래클럽(2/1), 지하1층』
- 18:45~19:14, 룸 안쪽 모니터 부근에서 발화 추정, 40㎡ 및 집기류 소실(11백만원)
- 영업 준비 중으로 내부에 손님이 없었음 / 대피유도 2명
◇ 구조・구급 활동
▲ (안전사고) 서울 서대문구 북가좌동『대로변 배전선로(22,900v)』
- 22:41, 고압선이 단선되면서 주행 중인 승용차 상단에 떨어진 사고 발생
- 승용차 2대 일부 피해(인명피해 없음), 주변 약 210세대 정전
* 아파트 정전으로 승강기 갇힘 구조 1명, 가스렌지 안전조치 1건
▲ (응급환자) 인천 옹진군『대청도 보건지소』
- 23:30, 호흡곤란 및 의식저하 환자(남/82세) 발생, 중앙119 헬기 응급처치 병원이송
▲ (응급환자) 경기 부천시 원미구 원미동『주택』
- 02:26, 원인조사 중인 자상사고 발생, 사상 2명(사망1, 중상1), 응급처치 병원이송
■ 해양경비 안전 활동 상황
◇ 활동총괄
구 분
|
외국어선 단속(척)
|
주요 해양사고
(척/명)
|
오염방제
(건/유출량㎘)
|
나 포
|
검 문
|
차단・퇴거
|
일 계
|
0
|
0
|
0
|
5 / 21
|
0 / 0
|
누 계
|
208
(지도선 포함)
|
535
|
3,630
|
916 / 8,382
|
138 / 251
|
◇ 해양사고
▲ (선박화재) 제주, 외국적 컨테이너선박 화재 발생(7일차)
- 17. 01:45 차귀도 서방 35해리 태풍 피항차 도착, 기상감안 부산 이동예정
▲ (선박충돌) 목포, 화물선・어선 충돌 발생 ※ 인명・오염피해 없음
- 16:35, 팔금도 인근 해상 화물선(97톤,9명)과 어선(9.7톤,1명) 충돌, P92정 안전관리
▲ (침수선박) 목포, 침수선박(승선원 없음) 발생
- 09:25, 목포항 예인선(47톤) 기관실 침수, 에어벤트 봉쇄 및 유성혼합물 22,500ℓ 회수
※ 함선 8척(해경6, 공단1, 민간1), 122구조대 현장 투입 / 오일펜스 70m 설치
▲ (추진기장애) 군산, 스크루 장애 선박 구조
- 05:32, 격비도 남서 19해리 어선(36톤,7명) 스크루 어망 감김, 1001함 어망제거
▲ (레저사고) 태안, 만리포해변 앞 100m 해상 요트(1척) 예인
- 11:20, 요트(0.5톤,1명) 돛 탈락, 모항안전센터 구조정 예인, 만리포 입항
▲ (응급환자) 완도・인천, 응급환자(2명) 이송
- 08:23, 완도 소완도 주민(남,83세) 뇌졸증, P87정 이송
- 21:47, 인천 무의도 관광객(남,21세) 뇌경색・뇌수막염, H08정 이송
▲ (변사자) 부산, 남천동 해안도로 TTP 변사자(1구) 인양
- 13:20, 시민발견 신고, 광안리안전센터・119 변사자(여,불상) 합동인양
7월 17일 06:00 기준.
자료 :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