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로 647개 국가 전산 마비… 긴급 복구 나선 정부22시간 진압 활동 끝에 완진 선언, 배터리 384개 전소
|
![]()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한 소방대원이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를 담은 소화수조에 물을 뿌리고 있다. ©연합뉴스 |
[FPN 최누리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내 배터리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대다수가 멈춰서는 초유에 사태가 벌어졌다. 대민과 내부 행정망 서비스가 대거 중단됐고 무인민원발급기와 우체국 금융까지 차질이 확산된 상황이다. 정부는 비상대응을 가동하고 우선순위 시스템부터 단계 재가동에 착수했다.
지난 26일 오후 8시 20분께 대전 국가정보관리원 화재 진압을 위해 투입된 소방은 27일 오후 6시를 기점으로 22시간 만에 완진을 선언했다. 인명피해는 경상 1명에 그쳤지만 국가 행정 업무시스템 647개(인터넷망 436개, 행정내부망 211개)가 가동이 중단되는 사태가 빚어졌다.
소방은 27일 오후 9시 36분까지 전소된 384개의 배터리를 모두 빼내 수조에 담그는 등 추가 발화 방지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화재 상황을 정리했다. 이날 현장에는 289명의 인력(소방 206, 경찰 32, 군 10명 등)과 장비 67대가 동원됐다.
불은 대전 유성구 화암동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UPS(무정전ㆍ전원 장치)로 사용되는 리튬배터리 교체 작업 중 불꽃이 튀며 발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불로 배터리 384개가 전소됐고 같은 층에 있던 서버들도 대부분 소실됐다. 국과수 등은 정확한 원인 분석을 위해 배터리를 수거하고 정밀감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에 따르면 이번 화재로 우리나라 대표 민원 창구인 정부24와 정부기관 홈페이지 등 다수 시스템의 사용이 제한됐다.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과 장기조직혈액 통합관리시스템도 중단돼 화장 예약과 이식 매칭 과정에 차질이 발생하기도 했다. 일부 무인민원발급기 발급 중지와 우체국 금융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복구가 지연될 경우 민원과 공공 금융 등의 불편이 계속될 전망이다. 정부는 다수 이용 시스템부터 최대한 신속 재가동을 목표로 복구를 서두르고 있다. 29일 오전 7시를 기준으로 기준 행정정보시스템 46개가 복구 완료됐지만 화재 피해를 입은 전산실의 분진 청소 후 복구가 진행될 예정이어서 상당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다행히 화재가 완진이 된 만큼 이제 조속한 복구를 위해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필수 시스템부터 우선 정상화하고 551개 시스템을 단계 재가동하겠다. 직접 피해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28일 열린 긴급 비상대책 회의에서 비상대응 계획 부재를 지적하며 이원화 체계 구축을 지시했다. 과거 국정자원이 대규모 장애 시 3시간 내 복구가 가능하다고 밝힌 것과 대조적인 이번 사고 여파를 두고 강한 비판을 내놓기도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 회의에서 “국정 최고 책임자로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면서 “민생 관련 시스템 복원은 밤을 새워서라도 최대한 신속하게 복구하고 정부의 대처와 복구 현황을 신속, 투명하게 국민께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