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정부차원 조기 안전교육, ‘소방안전교육사’ 활용해야…

광고
유은영 기자 | 기사입력 2010/02/10 [10:27]

정부차원 조기 안전교육, ‘소방안전교육사’ 활용해야…

유은영 기자 | 입력 : 2010/02/10 [10:27]

지난해 12월 29일 개최된 국무회의를 통해 정부는 후진적 인적재난 근절과 안전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안전제도 개선 및 의식 선진화 종합대책’을 확정했다.

이번 종합대책에서 주목해야 할 만한 점은 드디어(?) 정부에서 ‘안전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이를 위한 대책을 수립했다는 점이다.

지난 2007년 12월 소방방재청에서 실시한 국민 안전의식 조사결과 우리나라 국민의 75.5%가 ‘안전불감증’인 것으로 나타났다.

언젠가 기자와의 인터뷰를 가진 한 소방기술사는 “안전에 대해 우리나라는 아직 후진국인 것이 사실”이라며 “선진국 사람들은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안전을 추구하는데 반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굳이 왜 돈을 들여 소방시설을 설치해야 하냐’며 오히려 되묻는 실정”이라고 토로한 적이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이러한 질문을 던지는 이유가 안전에 대한 의식 수준이 낮아서 일 수도 있겠지만 좀 더 고민해 본다면 ‘안전 교육의 부재’에서 오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본다.

간혹 취재 차 소방서에 들리면 요즘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등에서 소방서를 방문해 안전교육을 받기도 하고 가족 단위로 교육을 받으러 온다는 얘기를 심심치 않게 듣는다.

하지만 기자는 유치원과 초ㆍ중ㆍ고ㆍ대학교를 통틀어 20년이 넘는 세월동안 제대로 된 소방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물론, 기억력의 문제 일 수도 있지만 주변 지인들에게 물어도 다들 같은 대답이 나오는 것으로 미뤄볼 때 기자가 학창 생활을 즐기던 그 당시에는 ‘안전 교육’이라는 것이 활성화 돼 있지 않았던 것이 분명하다.

가까운 일본 기타큐슈시의 경우 관할 교육위원회와 협의 하에 정규 교과목에 소방안전교육을 편입하고 소방공무원 중 지원자를 교육훈련 후 임기 3년의 강사로 선임해 안전교육을 담당하고 있다고 한다.

미국의 경우도 소방교육기관에서 일정 기간의 교육 이수 후 자격을 부여해 현직교사로 활동중이거나 소방공무원으로 선별채용해 교육프로그램을 전담하는 인력들이 활동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진국 추세에 맞춰 소방방재청에서는 지난 2008년 ‘소방안전교육사’라는 전문적인 안전교육 인력을 양성해 유치원 및 초ㆍ중ㆍ고등학교 등에 배치하고 양호담당교사와 같은 제도를 도입할 계획을 세운 바 있다.

하지만 당시에는 교육인적자원부와의 협의가 원만히 이뤄지지 못했고 현재 소방공무원 합격자를 제외한 일반 합격자들은 소방안전교육사로서 별다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소방안전교육사’ 시험은 소방공무원을 위한 시험이라는 오명을 벗어내지 못하면서 당초 도입 취지를 무색하게 만드는 제도가 돼 버렸다.

이제는 정부에서 안전 조기교육에 대해 고착화된 성인의식을 바꾸는 것보다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유치원부터 초ㆍ중등학교의 관련 교과 및 재량활동, 특별활동 등 학교 교육 전반에 걸쳐 체계적인 안전교육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입장을 표명한 정부에서 국민의 안전의식 제고와 안전교육 인프라 형성을 위해 준비돼 있는 인력인 소방안전교육사를 활용하는 방안 마련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 아닐까 생각된다.

유은영 기자 fineyoo@fpn119.co.kr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