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분야의 신기술과 신제품을 정책적으로 발굴해 발전시키겠다는 소방방재청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시대적 흐름에 맞도록 신기술을 앞당겨 도입하고 정책에 적극 반영시키겠다는 청의 의지로 풀이되면서 산업계에서도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이다.
소방방재청 개청 이후 신기술 수용을 위한 정책적 움직임이 없던 것은 아니지만 이처럼 신기술 설명회를 갖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처음이다.
소방관련 신기술은 제도적인 통용성을 확보하지 못하거나 기술기준이 없어 쉽게 사장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제도권을 통해 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특수한 산업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제품이 기존 소방시설이나 장비를 대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졌다 해도 제도적 뒷받침이 없으면 상용화될 수 없다. 이것이 소방산업을 도태시키는 원인이라고 볼 수도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소방용 제품이나 장비를 개발하는 업자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관련기관에 민원을 제기해 봤을 정도다. 현 실태를 보여주듯 소방방재청과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담당 부서에는 하루가 멀다하고 찾아오는 업체 관계자들이 쉽게 눈에 띈다.
소방방재청이 이번에 처음으로 시도한 소방관련 신기술, 신제품의 정보수집과 설명회가 정례화되면 이러한 민원이 줄어들고 제도적 보완점의 발굴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신기술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정례화에 앞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놓쳐서는 안된다. 우선 현행 제도권 진입 및 기술적 검토가 이뤄지는 기술이나 제품은 사전에 거를 수 있는 1차적인 서류검토 등의 검증이 필요하다. 실제 이번 설명회에서는 제도권 진입을 눈앞에 둔 제품을 선보이거나 해외 제품을 무작정 들고 나오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신기술 발굴 정책에 참여하는 업체도 적극적인 노력과 준비가 필요하다. 신기술의 효율성과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시해야만 한다. 정보수집에 참여하면서 실질적인 설명회에 불참하는 것도 이해할 수 없는 부분 중 하나이다.
이러한 문제 개선을 통해 신기술 및 신제품 발굴 정책이 연중 행사로 자리잡는다면 개발자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날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여 정례화된 정책이 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