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소방서는 주방에서 발생하는 주방 화재의 초기 진화에 효과적인 주방용(K급) 소화기를 업소마다 비치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주방 화재는 일반적으로 비치하는 분말 소화기(ABC 소화기)로 진화를 시도했을 때 식용유 내부의 온도를 낮추지 못하고 겉면만 소화하기 때문에 재발화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주방 화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초기 진화를 시도하다가 피해가 확산된 사례도 있다.
지난 2017년 6월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이 개정돼 음식점(지하가의 음식점 포함), 다중이용업소, 호텔 등의 주방에는 1개 이상의 주방용 소화기를 의무적으로 비치해야 한다. 25㎡ 이상의 주방에는 K급 소화기 1대와 25㎡마다 분말소화기를 추가로 구비해야 한다.
K급 소화기는 불이 붙은 식용유 표면에 비누막을 형성하고 산소 공급을 차단해 발화 온도를 낮춰 진화한다.
소방서 관계자는 “화재 시 소화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상식은 보편화해 있지만 상황에 따라 효과적인 소화기가 있다는 것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며 “소화기의 종류별 특성을 이해해 비상상황을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은석 객원기자 skdltmzj@korea.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