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AI 구급차 보급해 치료 골든타임 확보한다정부, 정밀의료소프트웨어 선도국가 도약 계획 발표
[FPN 최누리 기자] = 정부가 전국에 인공지능(AI) 구급차를 단계적으로 보급해 응급환자 골든타임을 확보한다. 국내 8개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닥터앤서진료소도 운영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관계부처와 제4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정밀의료소프트웨어 선도국가 도약 계획’을 지난 12일 발표했다.
먼저 국가응급진료정보망과 소방정보시스템을 연계해 AI 구급차의 전국적 운영 기반을 마련하고 광역시ㆍ도에 초기 도입비를 지원하는 등 단계적으로 전국 확산을 추진한다.
정부는 전국 8개 주요 거점 지역 상급종합병원이나 건강검진센터를 중심으로 닥터앤서진료소(클리닉)를 지정ㆍ운영한다. 다양한 AI 의료소프트웨어도 지원해 수도권 대형병원에 가지 않고도 거주지 주변에서 AI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등을 중심으로 의료분야 클라우드 대전환 논의를 시작하고 클라우드 이용권을 확대ㆍ지원해 의료데이터 축적과 병원 간 진료 정보 교류를 활성화한다.
또 국내 AI 의료소프트웨어 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AI 의료소프트웨어 개발부터 마케팅, 해외 진출까지 지원하는 등 ‘정밀의료소프트웨어 생태계’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데이터댐과 보건의료빅데이터, 국가바이오빅데이터 등 ‘케이-의료데이터댐’을 구축ㆍ개방하고 AI 의료소프트웨어 개발 컨설팅을 지원한다. ‘닥터앤서 서비스 플랫폼’을 공유해 신생 기업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시장 진출을 돕는다.
AI 의료소프트웨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선 IT 기업 제작자 등에게 관련 교육을 제공한다. AI 의료소프트웨어 사용 의료기관 관계자 교육을 지원하는 ‘닥터앤서 소프트웨어 스쿨’을 추진하고 미국 등 해외 9개 국가 상표에 등록된 닥터앤서 상표를 케이-의료소프트웨어 대표 브랜드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소아희귀암 진단과 감염병 대응에 AI를 적용하고 디지털 치료제ㆍ의료 메타버스 기술 확보에 지원하는 등 차세대 의료서비스도 준비한다.
정부는 소아희귀질환의 AI 적용 범위를 현재 2종에서 8종으로 넓히고 ‘닥터앤서소아과’ 개발을 지원해 소아희귀질환 AI 진단ㆍ치료를 선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에 대해선 감염병 현장 대응과 유입차단, 역학조사 등 AI 기반 ‘국가방역체계’를 고도화하고 감염병 환자의 예후관리에 AI를 적용한다.
이와 함께 약물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ㆍ실증한다. 자폐ㆍ정서ㆍ중독 장애에 적용이 가능한 디지털 치료제를 우선 개발하고 개인 맞춤형 가상융합(XR) 트윈생성ㆍ시뮬레이션과 인체 내부 생체정보 가시화, XR 상호작용 등 핵심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임혜숙 장관은 “우리나라의 데이터ㆍ네트워크ㆍAI 역량을 결집하고 널리 확산해 정밀 의료소프트웨어가 국민의 건강수명을 연장하고 새로운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이번 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