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 이송 환자 1만명당 25명 응급실 도착 전 사망… 대책 마련해야”고연령대일수록 사망 비율ㆍ응급실 도착 소요 시간 ↑
|
![]() ▲ 무소속 이용호 의원 © 이용호 의원실 제공 |
[FPN 박준호 기자] = 119 응급차로 이송되는 환자 중 0.25%가 응급실 도착 전에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소속 이용호 의원(전북 남원ㆍ임실ㆍ순창)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16~’20년) 국내 17개 시ㆍ도별 119 환자 가운데 DOA, 즉 응급실 도착 전 사망 비율은 1만명당 25명꼴이다. 또 이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 40분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119 환자 1만명당 DOA 환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북(71명)으로 최소 지역인 광주(9명)보다 8배가량 많았다. 이어 전북 65, 강원 49, 제주 45, 충북 42명 순으로 많았다.
DOA 환자의 응급실 도착 최장 소요 지역은 광주 47.5, 강원 46.6, 대구 46.5, 충북 43.7, 경북 42.6분 순이었고 세종이 24분으로 가장 적게 걸렸다.
특히 DOA 환자 수와 DOA 환자 응급실 도착 소요 시간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더 위험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세 미만(6명)보다 80세 이상(65명)이 약 11배 많았고 40대 이상 고연령대로 갈수록 40분 이상씩 소요됐다.
이용호 의원은 “최근 5년간 DOA 환자 비율이 전반적으로 감소세에 있다곤 하지만 여전히 지역별로 큰 격차를 보이고 응급실 도착 소요 시간은 오히려 증가세”라며 “수도권과 비수도권, 광역시와 도 간의 DOA 격차를 줄이려면 단순히 시설과 인력, 인프라만 늘릴 게 아니라 지역 특성에 맞는 응급의료환경을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저출산ㆍ고령화 시대에 접어든 우리나라는 DOA 환자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며 “DOA 환자 수와 응급실 도착 시간을 함께 줄이기 위해서는 범정부 차원의 지역별 응급의료환경구축계획을 조속히 마련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행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