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8월 4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22/08/04 [09:02]

8월 4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22/08/04 [09:02]

■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코로나19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20.2.23.~)

- 발생현황(8.3.0시) : (신규사망) 26명전일10↑ (재원 위중증) 284명전일2↑

   (신규입원) 473명전일142↑ (신규확진) 119,922명전일8,133↑/전주19,677↑(국내119,322, 해외600)

     ※ 누계 : 사망 25,110명(치명률 0.13%), 확진 20,052,305명 / * 수도권 60,787명, 비수도권 58,535명

- 예방접종(8.3.0시) : 106,018명(1차446, 2차367, 3차3,615, 4차101,590)

     ※ 누계 : 1차45,088,307명(인구대비87.9%), 2차44,652,613명(인구대비87.0%), 3차33,473,523명(대상자대비75.1%), 4차5,795,319명(대상자대비29.5%)

- 조치사항 : (중대본) 일반의료체계 전환을 위한 중대본 협조 요청사항*, 軍 코로나19 주요 조치 및 대응계획 등 논의(제1총괄조정관, 8.3.)

     * (원스톱 진료기관) 병·의원에서 참여하도록 지자체에 집중안내 및 홍보 당부

       (재택치료) 증상이 있는 경우 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 강화, 24시간 의료상담센터 지속 운영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8.3.) : 양돈 및 야생멧돼지 발생 없음

     ※ 확진(누계) : 양돈22건(경기9, 강원8, 인천5), 야생멧돼지2,650건(강원1,672, 경기674, 충북254, 경북50)

 

 폭염 대처상황                          ※ 위기경보 ‘경계’(’22.7.2.~)

- 인명피해(8.2.) : 온열질환 6명, 사망 없음   ※ 질병관리청(온열질환응급실 감시체계)

      ※ 누계(5.20.~8.2.) : (’22년) 온열질환 1,074명, 사망 8명(비응급실 1명 포함)/(’21년) 온열질환 1,040명, 사망 17명

- 재산피해(8.2./누계) :  가축(348천 마리)·어류(33.8천 마리) 폐사

- 조치사항 : (행안부) 재난예방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통보(NDMS)* 무더위 휴식시간제 홍보, 독거노인 등 폭염취약계층 안부전화, 국민행동요령 홍보 등

   (국토부) 건설현장 방문, 여름철 옥외 근로자 안전조치현황 점검(1차관, 8.3.)

   (해수부) 충남 천수만·제주도 해역 고수온 경보 및 전남 흑산면 주의보 발령*(8.3.)

     * 비상대책본부(장관) 및 현장대응반(지자체) 운영, 어업인 대상 현장조사‧점검, 양식어장 관리강화 등

     ※ 고수온 경보(7.8.∼) 전남(함평·도암·득량·여자·가막만), 충남(천수만), 제주/주의보(7.6.∼) 경남(사천·강진만), 서해연안, 전남(흑산면)/관심(7.4.∼) 전국 연안

   (지자체) 비상근무(2,180명), 무더위쉼터 운영(48,425개소), 보호활동(178,066회) 등

 

▲ 일일 전력수급 전망(8.4.)

- (전력수요) 피크시간(17~18시)에 최대 84,600㎿ 예상

- (전력공급) 공급능력 100,786㎿ → 공급예비력 16,186㎿(19.1%), 운영예비력* 8,261㎿(9.8%)

   * 30분 이내 확보 가능한 발전 용량(시운전 발전용량 포함, 4,500㎿ 미만일 경우 ‘관심’ 단계 발령)

 

 강수·안개 대처상황                              ※ 피해 없음(잠정)

- 조치사항 : (행안부) 재난예방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통보(NDMS)

     * (강수) 산사태 위험지 예찰, 야영장‧계곡 행락객 안전조치 (안개) 취약구간 모니터링 실시 등

 

 주요사고

- (안전사고) 06:43경/강원 양양군 강현면/공사장(숙박시설 신축) 인근에서 지반침하(폭8m×연장12m×깊이5m)/편의점(1/3)붕괴, 상수도관(75mm)파손  ※ 인명피해 없음

     ※ (행안부) 안전조치 지시, 2차 사고예방 및 수습 상황관리 (국토부) 초동 현장 조사 (지자체) 사고수습본부 설치, 주민 대피 안내, 안전펜스 설치, 관계기관(강원도청·국토안전관리원·노동부 등) 대책 회의(13:40), 건축 공사 중지 명령(17:15) 

     ※ [향후계획] 국토부 현장점검(8.4 예정) 및 사고원인 본조사(국토부 또는 지자체, 4개월 이상 소요 예상) 실시

- (수난사고) 3건 발생*(사망 2, 중상 1)

      * 경기 가평(10:46경/하천에서 원인 미상의 익수/ 사망 1명), 경기 포천(15:35경/계곡에서 물놀이 중 익수/중상 1명), 경기 구리(17:22경/하천에서 원인 미상의 익수/ 사망 1명)

- (화재) 15:46경/경기 안산시 성곡동/회로기판 제조공장(4/1층, 15,098㎡)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20:37)/공장(300㎡) 소실 등     ※ 인명피해 없음

      ※ 사고대비물질(염소산나트륨, 황산, 질산, 과산화수소, 포름알데하이드 등) 6종 취급 / 유출 없음

- (화학사고) 23:35경/경기 안산시 목내동/의약품 제조공장(5/0층, 7,403㎡)에서 작업 중 톨루엔* 누출·화재(안전조치 완료 8.4. 00:59)/중상 1명, 공장(60㎡) 소실 등

      * 사고대비물질(○),유독물질(○)/무색의 액체(끓는점 110.6℃)/위험성(0~4단계)(건강2, 화재3, 반응0)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구 분

화 재

구 조

구 급

생활안전

건 수

사 망

부 상

피해액

(백만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일 계

82

0

3

350

1,387

223

5,795

5,881

2,322

40

❖헬기출동 : 7회(응급환자 1, 훈련비행 6) / 1명(구급)   

❖구급상황관리 : 4,741회(의료지도 411, 대국민상담‧지도 4,244, 이송병원선정 76, 헬기 0, 재외국민 10) 

❖생활안전조치 : 2,322회(동물처리 156, 비화재보확인 353, 잠금장치개방 41, 안전조치 29, 기타 1,743) 

 

◇ 화재진압

 (펜  션) 경기 가평군『○○펜션』

- 12:05~12:51, 소독약 보관 용기에서 원인 미상의 발화, 경상 1명, 용기 소실

 

 (공  장) 경기 안산시『○○부품 제조 공장』

- 15:45~20:37, 공정실에서 원인 미상의 발화, 공장 일부 및 집기 소실

 

 (병  원) 서울 금천구『○○치과의원』

- 17:04~18:25, 기계실 차단기 전기적 요인 추정 화재, 10㎡ 및 집기 소실

 

◇ 구조・구급・생활안전

 (안전사고) 강원 양양군『○○해수욕장 인근 건물』

- 06:43~07:00, 지반 침하로 편의점 건물 일부 붕괴, 대피인원 96명

 

 (수난사고) 경기 구리시『○○천 ○○다리 밑』

- 17:22~18:30, 다리 밑에서 익수자 발견, 사망 1명, 의료지도 및 경찰인계

 

8월 4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광고
[기획-러닝메이트/한국소방안전원]
[기획-러닝메이트/한국소방안전원] 안전을 넘어 정책의 기준 제시 ‘정책연구과’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