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폭염 대처상황 ※ 폭염 위기경보 ‘경계’(6.30.~) - 인명피해(7.2.):온열질환 100명(사망 2명*) *질병관리청(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누계(5.20.~7.2.): (’25년) 온열질환 617명(사망5명)/ (전년 동기) 395명(사망2명) / 조기 감시기간(‘25.5.15~5.19.) 16명 * ① 7.2. 19:00경 / 경기 이천시 부발읍 / 산에 묘 정리(추정)차 산행 중 쓰러짐, 23:35 사망(88세, 남) ② 7.2. 13:48경 / 경남 진주시 금산면 / 하우스 안에서 쓰러진 채로 발견, 14:11 사망(82세, 여) - 조치사항: (행안부) 폭염대응추진상황점검회의*(재난안전관리본부장주재,7.1.) 폭염재난위기경보’경계‘발령(6.30.),폭염특보확대에따른안전관리철저(공문,6.29.), 폭염대비국민행동요령안내(재난방송), 폭염특보에 따른 예방활동철저지시(NDMS)* 관계기관 폭염총력대응 메시지 전달, 취약계층(농작업자,야외근로자,쪽방촌등) 보호대책강구등 (복지부)독거노인등취약계층안전확인 (고용부)사업장 현장지도점검(지자체)비상근무(17개시·도3,304명),취약계층보호(방문및전화)및홍보(재난문자등)활동
▲ 강수‧안개‧해무 등 대처상황 - 조치사항: (행안부)강수‧안개 등 재난 예방활동 및 상황관리철저(NDMS) - 수난사고예방안전수칙안내(재난방송) 및 수난사고 관련 상황관리철저(NDMS),다중이용시설‧아파트 등 화재 예방 및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화재·선박·교통·사업장등최근사고사례전파및상황관리철저(NDMS)
▲ 주요 사고 - (수난사고) 7.3. 12:33경 /강원양양군현남면/남애초교 인근 해변에서 교회 신도 10여명이 물놀이(조개 채취) 중 1명 익수/사망1명(여, 50년생) - (교통사고) 7.3. 16:21경/서울 도봉구 방학동/방학사거리 인근에서 주행중이던 택시 운전자가 의식을 잃고, 중앙선을 넘어 1차로의 차량을 충격후(역주행) 인도로 돌진/사망 1명(보행자), 중상 1명(운전자), 경상 2명(택시승객, 보행자) - (국외지진) 7.3.16:13경/일본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남남서쪽 275㎞해역(발생깊이 20㎞)에서 규모 5.5 지진 발생 ※국내영향없음
■ 재난안전 예방활동 등 ▲ (행정안전부) 온열질환 자각방법 및 홍보 관련 전문가 간담회(7.3) - 자연재난실장, 온열질환 발생현황 및 분석, 고령자‧어린이 등 온열질환 자각 방법 및 응급 대처법, 공사장 등 사업장 온열질환 주요 사례 및 예방법, 홍보 방안 논의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11회(산악구조2, 응급환자1, 훈련비행8) / 3명(구조2, 구급1) ❖구급상황관리: 3384회(의료지도 486, 대국민상담.지도 2834, 이송병원선정 49, 헬기 3, 재외국민 12) ❖생활안전조치: 1640회(동물처리 186, 비화재보확인 304, 잠금장치개방 57, 안전조치 38, 기타 1055)
◇ 화재진압 ▲ (숙박시설) 제주 서귀포시『○○리조트 별동 보일러실』 - 05:52~06:08, 전기적 요인 추정 화재, 보일러실 10㎡ 소실
▲ (주 택) 서울 마포구『○○ 다세대주택』 - 08:35~09:02, 전기자전거 충전시설 전기적 요인 추정 화재, 중상 1명, 내부 소실 등
◇ 구조/구급 ▲ (교통사고) 경기 군포시『○○터널 서울방향』 - 05:49~07:10, 화물차가 스타렉스 후미를 추돌한 교통사고, 부상 6명, 응급처치 및 병원 이송
▲ (화학물질누출) 울산 울주군『○○공장』 - 09:49~11:25, 삼산화황 제조 공정 배관에서 삼산화황 가스 누출, 밸브차단 및 방제조치
▲ (추락사고) 전북 익산시『○○아파트』 - 14:46~15:10, 8층 거주자가 로프 하강 연습 중 출입구 비감림 시설로 추락, 경상 1명
▲ (교통사고) 서울 도봉구『○○사거리 인근』 - 16:21~16:59, 택시가 SUV와 출동 후 인도로 돌진하여 보행자를 친 사고, 사상 4명, 응급처치 및 병원이송
▲ (교통사고) 충북 충주시『○○터미널 인근』 - 16:21~16:59, 택시 승강강장에서 앞서 대기중인 택시 들이받은 후 옆 차선 차량 들이받음, 경상 3명
7월 4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