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천영세 의원실에서 조사,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낙산사 화재 이후에도 대부분의 궁과 왕릉 등에 여전히 2차 훼손 우려가 있는 분말소화기가 비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재 관리에 구멍이 뚫려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천 의원은 “최근 궁릉관리소 및 각 궁관리소에 확인 결과 현재 비치된 소화기의 대부분이 분말소화기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지적했다. 문화관광부는 낙산사 화재 이후인 '05년 5월 ‘낙산사 화재피해복구 및 전통사찰 화재예방대책’을 내놓으면서 목조 문화재에 훼손이 적은 액체계 소화기를 배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천 의원실이 궁릉관리소 및 각 궁관리소를 통해 확인한 결과 여전히 분말소화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궁릉관리소의 경우 소화기 개수는 파악하고 있어도 종류는 모르고 있었으며, 덕수궁의 경우 소화기 숫자 역시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천 의원은 밝혔다. 현재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종묘에 비치된 소화기 수는 648개로 이 중 덕수궁에서 비치하고 있는 85개의 하론 소화기를 제외하고는 전부 분말소화기인 것으로 밝혀졌다. 게다가 하론소화기 역시 오존층 파괴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몬트리올 국제협약에 의해 2003년까지만 사용하도록 한 제품이다. 현재 소화기 중 co2 소화기가 목조건축물에 가장 피해가 적으나 분말소화기에 비해 3배 정도 비싼 것으로 알려져 예산절감을 위해 값싼 분말소화기를 사용함으로써 문화재 2차 훼손의 우려가 높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지난 4월 창경궁 문정전 화재의 경우 신속한 초기진압으로 큰 문화재 손실은 막을 수 있었으나, 이때 사용한 분말소화기의 분사물이 목조 벽면에 붙어 이를 떼어내기 위해 벽면을 밀어내는 등 2차 훼손이 발생한 바 있다. 천 의원은 “분말소화기가 다른 소화기에 비해 가격 면에서 싼 것은 사실이지만, 문화재가 훼손되면 그로 인해 손실되는 것은 가격으로 따질 수도 없는 것”이라면서 “적어도 국가가 중요하다고 지정해놓은 목조건축물의 경우에는 분말소화기 비치를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