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시행령 개정

정부 각 부처 의견수렴 절차 후 새로운 법령 시행

광고
박찬우 기자 | 기사입력 2007/04/17 [17:05]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시행령 개정

정부 각 부처 의견수렴 절차 후 새로운 법령 시행

박찬우 기자 | 입력 : 2007/04/17 [17:05]

행정자치부(박명재 장관)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의 시행을 위한 법시행령안을 마련하여 정부 각 부처 의견 수렴절차에 들어 갔다.

주요내용으로는 재난 예·경보의 신속한 전파를 위한 기간통신사업자를 소방방재청장이 지정 고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재난이 발생하거나 그 우려가 있을 때 생명보호를 위하여 발령하는 대피명령 또는 응급조치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기준을 구체적으로 정하였으며,

국가기반시설 지정과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 응급조치를 위한 장비와 인력의 지정관리 기준을 정하여 재난발생시 신속히 복구하도록 하면서도 필수적인 기능은 유지되도록 하였다.

중앙부처가 국가기반시설을 선정하거나, 정비할 때는 기관의 장의 의견을 듣도록 하였고 중앙안전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토록 함으로써 절차에 신중을 기하도록 하였다.

국가기반시설의 필수기능유지를 위한 응급조치에 일시 사용할 장비와 인력의 지정기준은 미리 시행령으로 정하여 운용토록 하며, 장비와 인력을 사용할 경우 협약을 체결할 수 있는 근거도 함께 마련하였다.

특히 국가기반시설보호를 이유로 정부에서 노사관계에 개입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일부의 오해를 적극적으로 불식시키기 위해 관계부처간 의견을 들어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의한 쟁의행위에 따른 국가기반시설의 일시정지는 이 법에 의한 재난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을 명시하여 양 법간의 상충이 없도록 하였다.

행정자치부에서는 정부 각 부처 의견수렴과 입법예고를 거쳐 시행령안을 확정하여 7월 27일 이후에는 새로운 법령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행령이 발효되면 풍수해 등 각종 재난에 대한 신속한 전파를 할 수 있게 되어 피해경감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재난대피 명령의 집행력이 높아져 인명피해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관련기사목록
광고
릴레이 인터뷰
[릴레이 인터뷰] “적재적소 역량 발휘할 응급구조사 배출 위해 노력”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